이시종 충북지사(왼쪽 다섯째)와 박덕흠(왼쪽 넷째)·변재일(왼쪽 셋째) 의원 등이 7일 국회 정론관에서 국토교통부에 청주공항을 거점으로 한 항공사업 면허 승인을 촉구하고 있다.충북도청 제공
대전·충남·북·세종 등 충청권이 청주공항을 거점으로 한 항공사 설립을 위해 팔을 걷었다.
이시종 충북지사와 충청권 자치단체장과 변재일(더불어민주당)·정용기(자유한국당)·김수민(국민의당) 의원 등 충청 연고 국회의원 등은 7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청주공항을 모기지로 하는 항공사 설립 면허 승인을 촉구하는 공동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성명에서 “청주국제공항은 신행정수도(세종시) 관문, 중부권 거점, 수도권 대체 공항으로서 국가 발전의 거점이 될 핵심 항공 인프라다. 청주공항 활성화를 위해 청주공항을 거점으로 둔 항공사의 국제항공운송사업면허 승인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충청권 자치단체장들은 앞서 지난 3월2일 정부에 청주공항 모기지 항공사 설립을 건의했다. 지난 6월26일 에어로 케이가 국토교통부에 ‘국제항공운송사업 면허 신청’을 했지만 아직 답이 없다. 에어로 케이는 에이티넘 파트너스, 한화그룹, 부방 등이 투자한 저비용항공사로, 청주공항 거점 항공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은 자본금 450억원을 들여 내년 4~5월께 청주~제주 노선을 취항하는 등 국제·국내선 취항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애초 국토부가 지난 9월께 항공사업 면허 승인을 할 것으로 점쳐졌지만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지난 6월29일 강원 양양국제공항을 모기지로 플라이 양양이 신청한 항공사업 면허 신청 승인 여부도 결정되지 않고 있다.
충청권 자치단체, 정치권은 물론 시민단체까지 반발하고 있다. 균형발전 지방분권 충북본부는 지난 6일 정부 세종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올해 개항 20돌을 맞은 청주공항은 정부의 수도권 위주 공항 정책으로 좌절을 겪었다. 그동안 청주공항 민영화 논란, 항공정비산업단지 육성 정책 번복에다 사드 보복까지 겹치면서 직격탄을 맞았다. 청주 거점 항공사 설립으로 국가 균형발전, 지방분권, 공항 활성화, 청년 일자리 창출 등을 이끌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연종흠 충북도 공항지원팀 주무관은 “국토부에서 올해 안에는 면허 승인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답을 받았다. 정부는 저비용항공사들의 과당 경쟁을 걱정하고 있다. 저비용항공사 2곳 정도는 이미 자본잠식 상태다. 저비용항공사가 추가되면 과열 경쟁으로 영업환경이 더 나빠질 수 있다는 걱정 때문에 승인이 늦어지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