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민간 정책자문기구 ‘경상남도 도민행복위원회’가 12일 출범했다. 경남도 제공
경남도민 행복정책을 발굴하기 위한 민간 정책자문기구 ‘경상남도 도민행복위원회’가 탄생했다.
경남도는 12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도민행복위 출범식을 열었다. 도민행복위는 모두 7개 행복분과로 이뤄졌으며, 시민단체·학계·현장전문가 등 민간인 88명이 위원으로 참가했다.
7개 분과는 △성평등과 여성일자리 정책 등을 다루는 성평등 분과(위원장 김경영 경남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 △영유아 돌봄정책 강화와 건강한 성장 등을 다루는 미래세대 분과(위원장 김병만 경남대 유아교육학과 교수) △한부모·다문화·청소년·이주민 지원 관련 가족 분과(위원장 정혜란 참교육학부모회 경남지부 상담실장) △서민 복지와 사회안전망 관련 자립자활 분과(위원장 엄태완 경남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노인 복지·인권과 일자리 관련 어르신 분과(위원장 하국모 한국노인복지중앙회 경남지회장) △장애인 사회참여·자립기반·복지시설 관련 장애인 분과(위원장 우길중 경남장애인단체총연합회 회장) △건강한 생태환경과 쾌적한 생활기반 관련 녹색 분과(위원장 박현건 경남과학기술대 환경공학과 교수)로 구성됐다.
위원장은 위원들이 추대한 강재규 인제대 법학과 교수와 도지사 권한대행이 함께 맡았다. 전체 간사는 도 여성가족정책관이, 분과별 간사는 해당 업무 담당사무관이 맡는다. 전체 위원회는 분기별 1차례, 분과위원회는 월 1차례 열린다. 긴급안건이 있을 때는 정기회의와 별도로 임시회를 열 수 있다. 위원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도록 했다.
경남도는 “이미 100여개 위원회를 운영하면서 관련 업무를 깊이 있게 고민하고 있지만, 여성·청소년·장애인·어르신 등 도민 다수를 차지하는 취약계층이 실감할 수 있는 정책을 발굴하는 데 부족한 점이 있었다. 도민행복위는 취약계층과 환경을 포함하는 종합적이면서 현장 목소리가 담긴 도민행복 정책을 발굴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