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 10년을 평가하는 토론회가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H6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제공
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도입하고 10년 사이 시비 지원금은 4배가량 늘고 요금도 30% 올랐지만, 버스회사의 재무구조와 승객서비스는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규 부산발전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 13일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주최로 열린 ‘부산 시내버스 준공영제 10년 평가 토론회’에서 발표한 주제문을 보면, 2007년 5월 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당시 313억원이던 부산시 지원 보조금이 지난해 1270억원으로 늘어났다. 10년 동안 보조금이 4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시내버스 준공영제는 부산시가 버스업체의 노선 배치권을 가지면서 연료비와 인건비 등을 반영한 표준운송원가에서 승객이 낸 차비 등 수입금을 뺀 부족분을 지원한다. 노무·차량관리는 버스업체가 하며 투명성 확보를 위해 수입금은 부산시와 버스업체가 함께 관리한다.
준공영제 시행 뒤 요금은 2007년 일반버스 성인 1000원(교통카드 950원)에서 1300원(교통카드 1200원)으로 300원(30%) 올랐다. 일반버스 청소년은 700원(교통카드 650원)에서 900원(교통카드 800원)으로 200원(28.5%) 인상됐다.
경영상태를 나타내는 재무건전성은 준공영제 도입 이듬해인 2008년 68%에서 2015년 85%로 17%포인트 개선됐다. 서비스 평가는 86%에서 91%로 5%포인트, 서비스 개선은 75%에서 84%로 9%포인트 개선됐다.
부산시는 2007년 5월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했다. 시내버스와 도시철도에서 하차 후 30분 안에 갈아타면 요금을 깎아주는 환승할인제도 함께 도입했다. 이어 2008년 7월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마을버스에서 내린 뒤 30분 안에 갈아타면 요금을 깎아주는 통합환승제를 시행하다가 2015년 7월 환승요금제를 폐지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