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제주4·3 70주년 제주 방문의 해’를 앞두고 제주도와 도의회, 도교육청 등 관련 기관·단체들이 14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최종보고회를 열고 계획을 확정했다. 제주도 제공
내년 ‘제주4·3’ 70주년을 맞아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키우기 위한 사업이 추진된다.
제주도는 14일 오전 제주도청에서 도의회, 도교육청을 비롯해 70주년 범국민위원회, 제주기념사업위원회, 4·3평화재단, 4·3유족회 관계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4·3 70주년 2018 제주 방문의 해’ 최종보고회를 열고 계획을 확정했다. 제주도 등은 역사적인 70주년을 맞아 4·3의 비극을 화해와 상생, 평화·인권의 가치로 승화시키고, 온 국민·세계인이 함께 공감하기 위해 제주 방문의 해를 지정해 기념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기념사업 추진은 제주도 내 모든 공공기관과 단체 등이 추진하는 사업이나 행사에 ‘4·3 제주 방문의 해’를 연계해서 한다.
내년 한 해 동안 추진되는 4·3관련 사업은 △추모위령 △문화예술 △학술 △교류협력 △세대전승 등 5대 분야 사업으로 진행된다. 예산은 국비 48억여원과 지방비 101억여원, 기타 10억여원 등 모두 160억여원이 들어간다. 문재인 정부도 △4·3 행방불명인 유해발굴 △4·3 희생자 추가 신고 △제70주년 기념사업 추진 △과거사 피해자 배·보상 등 제주4·3 문제의 완전 해결을 국정 100대 과제로 선정한 바 있다.
이날 최종보고회에서는 △4·3희생자 추념식과 전국 분향소 설치 등 추모 위령사업 △서울 광화문 4·3문화제와 4·3문화예술축전·아카이브전 등 문화예술사업 △4·3유족·평화인권운동가 초청과 일본 학술대회 참가 등 교류협력사업 △다크투어 프로그램 개발 및 4·3평화기행 등 세대전승사업 △4·3왜곡사례 조사와 국제학술대회 등 학술사업 등 117개 사업의 추진방향을 각 기관·단체들이 공유했다.
원희룡 지사는 “대규모 행사 개최도 중요하지만 세심하게 사업을 챙기면서 효과를 극대화하고 희생자를 기리는 한편 유족들을 위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내년 70주년을 계기로 4·3 해결 과정에서 보여줬던 제주인의 화해와 상생, 역사적 교훈 등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