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워크레인 추락 사고가 일어난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의 동원물류센터 신축공사장에서 지난 10일 오후 공사 관계자들이 합동 현장감식 관계자들을 기다리고 있다. 용인/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7명의 사상자를 낸 경기도 용인시 동원물류 고매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타워크레인 사고 원인은 해를 넘겨야 정확히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사건을 수사 중인 용인동부경찰서는 사고 초기 낡은 크레인 논란이 일었으나, 해당 크레인은 제조한 지 5년 밖에 안된 것으로 나타났고, 사고 당시 부상자들이 아직 치료 중이어서 조사가 어려운 상태라고 15일 밝혔다. 또 현장 정리가 제대로 안 돼 사고가 난 타워크레인의 마스트 상단 부분과 절단 부분에 대한 정밀 감식도 아직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여기에 사고 잔해물이 많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분석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 수 있어 수사가 큰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지금까지 일어나 타워크레인 사고는 4~6개월이 지나야 사고 원인이 나오고 관련자 처벌이 이뤄져 왔다.
이에 따라 경찰은 애초 안전관리계획서에 보고된 타워크레인 기종이 변경돼 현장에 설치된 이유와 현장 관리자의 안전수칙 준수 여부 등을 따지는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경찰은 또 지난 5월과 10월 각각 일어난 경기도 남양주시와 의정부의 타워크레인 붕괴사고 원인도 되짚어보고 있다. 이들 사고도 용인 사고처럼 모두 타워크레인 인상작업 중 일어났기 때문이다. 인상작업은 사고 발생률이 높은 위험 작업이어서 풍속이 초속 12m 이내일 때만 가능하고, 작업이 끝날 때까지 크레인을 움직여선 안 되는 등 철저한 수칙을 지켜야만 한다.
한편 한국타워크레인협동조합은 “이번 사고는 예고된 인재다. 정부가 전문적 지식 없이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전문가 교육을 허술하게 진행하고 있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동안 발생한 타워크레인 사고 대부분이 건설현장에서 사전 안전조처가 미흡했거나 제대로 된 안전교육이 이뤄지지 않은 데서 비롯됐다”고 주장했다. 용인/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