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수 사업’의 사업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남도 낙동강 특별위원회’는 지난 2012년 경남 김해시 낙동강변에 하루 100t 규모의 우정수 생산시설을 설치해 실험했다. 청정우정수연구회 제공
지난 2012년 ‘경남도 낙동강 특별위원회’는 ‘우정수 사업’의 사업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해 낙동강변에 소규모 우정수 생산시설을 설치해 실험했고, “우정수가 최선의 방안”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부산시가 우정수 사업 제안을 거절하고, 그해 말 취임한 홍준표 경남지사가 2013년 초 사업을 폐기하는 바람에, 실험 결과는 발표조차 되지 못한 채 묻히고 말았다.
‘경남도 낙동강 특별위원회’는 2012년 초 경남 김해시 생림면 마사리 낙동강변에 2600㎡의 땅을 확보해, 하루 100t의 우정수를 생산할 수 있는 인공습지·인공함양지 등 시설을 설치했다. 우정수 생산은 그해 8월 시작돼, 사업 폐기로 실험이 중단된 다음해 2월까지 계속됐다.
당시 우정수 수질을 정밀측정한 결과, 2~3급수 수준이던 낙동강물은 인공습지와 인공함양지를 거치면서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58~68%, 부유물질(SS) 95~97%, 총대장균 98%, 클로로필a 99~100%, 망간 91~100%, 철 86~91%가 개선되면서 1급수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부산시는 하루 65만t의 남강댐 물을 식수로 줄 것을 경남도에 요청했다. 남강댐 물 대신 우정수로 부산시 요청을 만족시키기 위해, 우정수를 하루 70만t씩 생산하려면 72만㎡ 규모의 시설 4곳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생산시설 설치비용은 땅값까지 포함해 7000억원이 필요한 것으로 산출됐다. 이는 진주 남강댐 물을 부산에 공급할 때 필요한 2조원의 3분의 1 수준이다. 특위는 낙동강 중하류 전역을 조사해 양산·김해·밀양·창원·창녕·함안·의령·합천 등 우정수 생산시설을 설치하기에 적합한 후보지 20곳도 선정했다.
박현건 청정우정수연구회 부회장(경남과학기술대 교수)은 “당시 실험은 인공습지 등 우정수 생산시설이 안정되지 않았고 수생식물도 자리 잡지 못한 상태에서 진행됐다. 그럼에도 기대 이상의 좋은 결과를 얻은 만큼, 완성된 시설에서 우정수를 생산한다면 더욱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