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암매장 조사를 위해 땅속탐사레이더가 투입된 상무지구 광주천변 연합뉴스
5·18 희생자 암매장 발굴조사가 80년 5월 전남북 계엄분소였던 전투병과교육사령부(전교사) 주둔지역으로 확대된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27일 광주시 서구 치평동 소각장삼거리에서 마륵동 상무대교로 향하는 광주천변 자전거길에서 암매장 흔적을 찾는 발굴조사를 벌인다고 26일 밝혔다.
재단은 지난 4일 땅속탐사레이더(GPR) 조사 때 이상 신호가 감지된 지점을 중심으로 길이 6m, 너비 3m 구간을 파보기로 했다.
중장비를 동원해 토층을 걷어내다 의심 물질이 나오면 문화재 출토방식으로 작업을 전환한다. 조사 하루 안에 암매장 흔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사 지점은 5·18민주화운동 당시 전남북 계엄분소였던 전교사 주둔지이자 광주시민 수천 명이 연행돼 영창에 갇혀 있었던 지역이다. 당시 주둔지였던 상무대는 94년에 전남 장성으로 이전하고, 주둔지 일원에는 5만명을 수용하는 대규모 택지인 상무지구가 조성됐다.
재단은 암매장을 목격한 시민의 제보를 바탕으로 이곳에 탐사레이더를 투입했으나 80년 이후 제방 공사와 택지 조성이 이뤄졌기 때문에 탐지된 물체가 공사 과정에서 땅속에 묻힌 자재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이번 발굴은 재단의 올해 마지막 5·18 암매장 의심지 조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정보와 자료를 재검토하고, 증언을 추가로 수집해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테니스장 등 의심지역을 발굴하기로 했다.
현장 작업은 행정안전부가 재단에 내년도 사업비를 집행하는 2월 말이나 3월 초부터 재개한다.
김양래 재단 상임이사는 “올해는 암매장 제보지 가운데 탐사레이더 조사에서 반응이 나온 곳들을 우선 조사했다. 5·18 특별법이 통과해 정부 차원의 진상조사가 시작될 때까지 발굴작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