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수 부산시장(왼쪽에서 다섯번째)과 원도심인 4개구의 구청장들이 4개구 통합 합의문을 작성하고 파이팅을 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서병수 부산시장과 부산의 대표적인 원도심인 4개구의 구청장이 4개구 통합에 합의했다. 하지만 법적 구속력이 없는 데다 합의문에 서명한 5명 가운데 3명이 오는 7월 퇴임할 예정이어서 합의문이 지켜질 것인지는 불투명하다.
서병수 부산시장과 김은숙 중구청장, 박극제 서구청장, 박삼석 동구청장, 어윤태 영도구청장은 18일 부산시청 26층 회의실에서 4개구 통합에 찬성한다는 내용의 합의문에 공개 서명했다. 이들은 합의문에서 “2022년 7월1일 4개구를 통합하고 통합구 출범 전까지 가칭 원도심발전위원회를 꾸려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또 “부산시는 원도심 통합을 위해 4개구가 요청하는 현안사업에 대해 예산을 먼저 배정하고 정부의 인센티브 확보에 최선을 다한다”고 덧붙였다. 합의문이 이행될 것인지는 두고 봐야 한다. 법적 구속력이 없기 때문이다. 또 합의문을 주도한 서병수 시장이 오는 6월 지방선거에서 살아남지 못하면 합의문은 언제든지 백지화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김은숙·박극제·박삼석 구청장은 3선 연임 제한에 걸려서 출마하지 못한다. 새 주인을 맞게 될 중·서·영도구가 반대로 돌아설 수가 있는 셈이다.
앞서 서병수 시장은 지난해 3월 인구 감소와 고령화, 저출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도심 4개구를 2030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살기 좋은 자치구 1위를 만들자며 통합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25개 사업 3조24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중구를 뺀 3개구가 지난해 9월 대통령 소속 지방자치발전위원회에 4개구 통합 건의서를 제출했다.
4개구가 통합을 하려면 지방자치발전위원회가 주민투표나 통합 대상인 4개구 의회의 의결 가운데 하나를 권고해야 한다. 이어 주민투표나 구의회에서 찬성표가 많아야 하는데 현재 4개구 주민들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고 중구의회는 반대하고 있다.
오는 7월 4개구 가운데 3개구의 구청장이 바뀌는데도 서병수 시장이 4개구 통합을 서두르는 것은 다섯달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승부수를 던졌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 관계자는 “원도심 4개구 통합은 차기 시장과 구청장, 주민들이 결정할 문제인데 서 시장이 재선을 위해 너무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