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시민단체 회원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여수시청 앞에서 ‘시장님, 상포지구는 누구 겁니까’라는 팻말을 들고 금요시위를 벌여왔다. 여수시민협 제공
전남 여수의 상포지구 개발을 두고 지역사회가 시끌시끌하다. 시민단체가 친인척 특혜의혹을 제기하자 여수시장은 억울하다며 공개토론을 제안하는 등 공방이 치열하다.
주철현 여수시장은 2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상포지구와 관련해 근거 없는 의혹이 유포되고 있다. 의혹이 있다면 여수시의회와 논의해 공개토론회를 열자”고 밝혔다.
그는 “경찰이 6개월간 수사를 했지만, 공무원은 물론 저와 제 주변인들에게 어떤 부정과 불법도 없었다는 것이 확인됐다. ‘아니면 말고’식의 흑색선전 같은 구태정치가 벌써 고개를 들어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이어 “(상포지구 개발은) 20년 동안 방치된 땅을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활용한 사례다. 현직 시장이라는 이유로 확인되지 않은 소문이 퍼져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앞서 여수시민협은 지난 22일 성명을 통해 “경찰 수사가 끝났지만 의혹이 여전히 남아있는 만큼 검찰이 관권개입, 개발특혜, 자금흐름 등을 엄정하게 수사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매립 이후 20년 동안 방치됐던 토지가 시장 조카사위 2명의 개입으로 하루아침에 허가가 나왔고, 땅값은 5배 넘게 뛰어 개발이익이 수백억원에 이른다”고 단언했다. 이 단체는 “시장의 조카사위 2명이 경영하는 업체가 2015년 100억원에 사들인 토지 12만7330㎡의 현재 시세는 536억원으로 추산된다. 이곳에 지구단위계획이 승인되면 기반시설을 위해 시 예산 120억원이 추가로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단체 회원들은 지난해 11월부터 여수시청 앞에서 ‘시장님, 상포지구는 누구 겁니까’라는 팻말을 들고 금요시위를 벌여왔다.
상포지구는 여수시 돌산읍 우두리·평사리 일대 공유수면 매립지를 이른다. 삼부토건이 86~93년 바다를 메워 12만5400㎡를 매립한 뒤 94년 2월 전남도의 조건부 준공을 받았다. 이후 20여년 동안 도로·하수 설치 등 조건을 이행하지 못해 사업이 중단됐다. 하지만 2015년 7월 자본금 1억원인 여수국제자유도시개발(이하 여수국제개발)이 설립 하루 만에 이를 100억원에 매입하면서 택지개발이 추진됐다. 이 과정에서 이 업체 경영진이 여수시장의 조카사위들이라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말썽이 불거졌다.
수사에 나선 경찰은 지난해 11월3일 개발업체인 여수국제개발의 대표 김아무개(50)씨 등 2명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 위반(횡령)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 이들은 매립지를 분할 매각해 발생한 이익금 60억원 중 37억원을 사적으로 쓴 혐의를 받고 있다. 또 매립업체에 보낼 공문을 개발업체에 누설해 취득협상을 도와준 팀장급 공무원 박아무개(55)씨를 부패방지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파문이 잦아들지 않자 광주지검 순천지청은 지난 18일 여수국제개발 대표 등의 사무실과 거주지 4~5곳을 압수수색하는 등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은 “제기된 의혹에 대해 원칙적으로 철저하게 수사하겠다”고 밝혔다. 여수시의회는 지난해 9월부터 특위를 구성해 행정절차의 흠결 여부를 살피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