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아파트도 마을이다’…신문이 가져온 아파트의 변화

등록 2018-01-30 16:41수정 2018-02-01 15:35

청주 산남동 <두꺼비마을신문> 아파트 공동체 이끌어
격주로 5000~5500부 제작해 7개 아파트·상가에 배달
2~3월께 이웃 마을 7개 아파트에서 추가 발행 여부 검토
조현국(가운데) <두꺼비마을신문> 편집장과 편집위원들이 지난 2일 한 편집위원의 집에서 167호 발행을 위한 편집회의를 하고 있다. 두꺼비마을신문 제공
조현국(가운데) <두꺼비마을신문> 편집장과 편집위원들이 지난 2일 한 편집위원의 집에서 167호 발행을 위한 편집회의를 하고 있다. 두꺼비마을신문 제공
신문이 마을을, 마을이 신문을 살렸다.

아파트 공동체 청주 산남동에서 발행되는 <두꺼비마을신문> 이야기다. <두꺼비마을신문>은 지난 25일 167호를 발행했다. 2009년 1월15일 창간호부터 9년을 쉼 없이 달려왔다. 이제 신문과 마을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다. 1면 종합에서 16면 상가 지도에 이르기까지 16면 타블로이드 신문에는 마을에서 일어나는 시시콜콜 이야기가 오롯이 담긴다. 청소년·주부 기자 등이 마을을 샅샅이 누비면서 마을·사람·학교·지역사회의 소식과 의견을 발굴하고 있다. 이 신문은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기금 등으로 다달이 두 차례 격주 5000~5500부 발행해 산남 두꺼비마을 아파트 7곳의 우편함에 빼곡히 꽂힌다. 아파트 상가, 법원·검찰청 등 법조 타운, 학교, 교육청, 언론기관은 물론 이 지역에 살지 않는 후원회원에겐 우편으로 배달한다.

지난해 10월 두꺼비마을에서 연 우리바람 문화축제 때 두꺼비 생태 터널에 전시된 <두꺼비마을신문> 창간호부터 160호. 두꺼비마을신문 제공
지난해 10월 두꺼비마을에서 연 우리바람 문화축제 때 두꺼비 생태 터널에 전시된 <두꺼비마을신문> 창간호부터 160호. 두꺼비마을신문 제공
조현국(50) <두꺼비마을신문> 편집장은 “우리 동네엔 종이신문 불황은 없어요. ‘조중동’은 게임이 안 되지요. 소소한 이야기에다 종이 매체의 감수성·향수·권위를 더해 나날이 인기다. 기사 누락 항의가 빗발치는 등 매체 영향력도 상당합니다”라고 자랑했다.

청주 산남 두꺼비마을 주민들이 지난해 10월 두꺼비 생태 터널에서 열린 축제에서 <두꺼비마을신문>전을 배경으로 연주를 하고 있다. 두꺼비마을신문 제공
청주 산남 두꺼비마을 주민들이 지난해 10월 두꺼비 생태 터널에서 열린 축제에서 <두꺼비마을신문>전을 배경으로 연주를 하고 있다. 두꺼비마을신문 제공
신문은 마을 공동체 형성의 일등공신이다. 2003년 3월부터 시작된 산남3지구 개발로 탄생한 산남 아파트 마을에 ‘공동체’ 개념을 정착시킨 게 신문이다. 이광희(53·충북도의원) 초대 <두꺼비마을신문> 편집장은 “아파트 마을 공동체 형성에는 화합을 위한 축제, 주민을 모으는 도서관, 소통 매체 마을신문 등 3대 요소가 필요한데, 신문은 두꺼비 서식지인 원흥이 방죽 보존을 매개로 주민을 공동체로 묶는 촉매 구실을 했다. <두꺼비마을신문>은 전국 마을 공동체의 본보기”라고 말했다. 실제 세종, 충주, 경기 동탄 등의 아파트 단지에서 마을신문 발행을 위해 산남 두꺼비마을을 찾기도 했다.

지난해 12월 마을신문 발행을 위해 <두꺼비마을신문>을 찾은 충북 충주 연수동주민센터 직원들이 조현국(가운데) 편집장한테서 신문 제작 과정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두꺼비마을신문 제공
지난해 12월 마을신문 발행을 위해 <두꺼비마을신문>을 찾은 충북 충주 연수동주민센터 직원들이 조현국(가운데) 편집장한테서 신문 제작 과정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두꺼비마을신문 제공
신문이 곧 마을이기도 하다. <두꺼비마을신문>은 두꺼비 생태길, 샛별초 인조잔디 운동장 문제, 구룡산 트러스트와 생태보존을 주도해 마을을 아파트 숲속 생태마을로 자리잡게 했다.

<두꺼비마을신문>은 새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이웃 마을 아파트 단지 7곳에서 추가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우용곤 산남동장은 “<두꺼비마을신문>이 주민 사이의 소통 매체로 자리잡으면서 주변 마을에서도 신문을 요구해 본격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 이르면 2~3월께 추가 발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문 발행을 맡은 두꺼비협동조합 박완희(46) 총괄이사는 “신문은 생태단체인 두꺼비친구들, 로컬푸드 직매장 두꺼비살림, 아파트협의회, 두꺼비생태공원, 행복교육공동체 등 마을의 조직과 사람을 유기적으로 잇는 플랫폼이다. 신문이 마을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1.

대전 초등생 살해 교사 “어떤 아이든 상관없이 같이 죽으려 했다”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2.

HDC신라면세점 대표가 롤렉스 밀반입하다 걸려…법정구속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3.

“하늘여행 떠난 하늘아 행복하렴”…교문 앞에 쌓인 작별 편지들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4.

대전 초교서 8살 학생 흉기에 숨져…40대 교사 “내가 그랬다”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5.

살해 교사 “마지막 하교하는 아이 유인…누구든 같이 죽을 생각”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