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하진(오른쪽) 전북지사가 최병관(왼쪽) 전북도 기획조정실장과 함께 21일 서울 정부청사 기획재정부를 방문해 고형권(가운데) 제1차관을 만나 지엠 군산공장 폐쇄와 관련해 현실적인 지원대책을 요청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
전북지역 정치인들이 한국지엠(GM) 군산공장 폐쇄에 반대하는 투쟁에 나섰다.
전북 군산시의회 의원들이 21일부터 청와대 앞에서 지엠 군산공장 폐쇄에 반대하는 릴레이 1인 시위에 돌입했다. 시의원들은 “차량 27만대를 생산하는 지엠 군산공장은 전북 수출의 30%를 차지하던 곳이다. 세계적 품질을 인정받는 공장인데도 기습적으로 공장폐쇄 결정을 내린 것은 글로벌 지엠의 횡포이자 먹튀 행태”라고 비난했다.
박정희 시의장은 “전북도민과 군산시민은 지엠 군산공장을 든든한 향토기업이라고 자부하며 지엠차 사주기 운동을 펼치는 등 그동안 지엠 살리기에 앞장서 왔는데 일방적인 군산공장 폐쇄 결정에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시의회는 1인시위를 비롯해 성명서 발표, 건의문 채택, 범도민 서명운동 및 궐기대회 등 군산공장 정상화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전북도의회 최인정(군산3) 의원도 20일부터 청와대, 한국지엠 본사인 부평공장, 산업자원부,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등을 찾아 군산공장 폐쇄 철회를 촉구하고, 지역 경제위기에 정부가 적극 나서주기를 요청했다.
한편 송하진 전북지사는 21일 정부 부처를 방문해 지엠 군산공장 가동 중단사태 해결과 현실적인 지원책을 당부했다. 송 지사는 이날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과 고형권 기획재정부 제1차관을 만나 “지난해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이 중단된 데 이어 최근 지엠 군산공장 폐쇄까지 겹쳐 군산지역은 사실상 재난지역이나 마찬가지”라며 특별교부세 지원과 지엠 협력업체의 세금 면제 등의 대책을 요청했다. 송 지사는 22일 이낙연 국무총리를 면담하고, 지엠사대 해결을 위한 정부차원의 종합대책을 주문할 예정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