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대 본교가 위치한 전북 남원지역 주민 50여명은 지난 13일 공공의과대학 유치추진위원회를 꾸렸다. 남원시 제공
전북 서남대학교가 28일 폐교되면 후속대책으로 그 자리에 공공의대를 설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서남대 본교가 위치한 전북 남원지역 주민 50여명은 지난 13일 공공의과대학 유치추진위원회를 꾸렸다. 김상근 대학유치추진위 공동대표는 “서남대 폐교로 부지와 건물이 남아있으니 정부가 추진하는 공공의대가 들어오는 좋은 조건이다. 전북 서남권 의료혜택을 위해 반드시 관련 대학이 설립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오는 28일 전북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연다.
남원시도 공공의대 유치계획을 마련했다. 남원시는 서남대 정상화를 위해 노력한 남원시민의 허탈감을 해소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의대정원을 전북에 그대로 유지하고, 그 자리에 공공의대를 설립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교육부는 서남대를 정상화하려는 노력보다는 폐교에 더 중점을 뒀다. 그런 만큼 비리사학의 재산이 국고에 환수되도록 사립학교법 개정에 협조해 공공의과대학을 설립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원이 지역구인 이용호 의원도 공공의과대학 설립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서남대 폐교이후 대안 모색 토론회-지역발전방안 및 공공의과대학 유치 중심’을 개최했다. 폐교가 확정된 서남대 부지와 건물을 활용해 전북권에 주어진 의대정원 49명을 살려 공공의과대학을 유치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지난 20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서남대 폐교 이후 대안 모색 토론회가 이용호 의원 주최로 열렸다. 이용호 의원 제공
교육부 관계자는 이날 “서남대 의대정원 49명은 전북에 유지하는 것으로 복지부와 협의했고, 회수를 전제로 한시적으로 전북대와 원광대로 배분한 것이다. 보건복지부나 서울시립대가 설립주체가 되는 것은 현행법상 문제가 없다. 의대는 설립인가가 더 까다로운 만큼 국가와 지자체가 머리를 맞대야 하고 교육부도 함께 하겠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교육부와 복지부, 지자체, 지역의료계가 모두 공공의과대학이 필요하고, 남원이 공공의대의 적지라는 데 공감대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2016년부터 공공보건의료 분야에 종사할 전문의료인력 양성을 위해 대학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서남대 학생 1326명(23일 기준) 가운데, 의대생 262명(전북대 176명, 원광대 86명)과 비의대생 937명(전북권 286명, 충남 등 비전북권 651명) 등 모두 1199명이 편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