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생존희생장 후유장애인협회와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공동으로 말녀한 생존희생자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18일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기념관에서 열렸다. 제주도 제공
제주4·3 생존희생자들이 사건이 일어난 지 70년이 지나도록 후유장애와 우울증, 만성 통증 등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
제주4·3생존희생자후유장애인협회(회장 고태명)는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와 18일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기념관 대강당에서 ‘제주4·3생존희생자 삶의 질 실태와 개선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부윤정 제주한라대 간호학과 교수는 제주지역에 있는 4·3 생존희생자(4·3 당시 다친 사람들) 105명 가운데 73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가 만성 통증을 앓고 있고, 이 가운데 79.3%가 못 견딜 정도로 통증을 느낀다고 답했다. 또 중복응답을 한 만성질환의 경우 고혈압 67.1%, 고지혈증 27.4%, 관절염 24.7%, 당뇨 20.5%, 심장질환 20.5%, 치매 6.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치매에 걸렸거나 치매로 의심되는 생존자는 41.1%, 우울증을 겪는 생존자는 49.3%를 차지했다. 이들의 평균 나이는 85.8살이며,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80%에 이르렀다.
부 교수는 “4·3 생존자들은 후유장애와 고령, 낮은 학력 및 지식수준, 오랜 기간 지속한 사회적 낙인찍기 등으로 직업이 없는 경우가 많다. 생존희생자들이 급격하게 건강이 나빠지고 있고, 우울증, 치매, 기능장애, 만성 통증 등에 시달리고 있다”며 “고위험군을 위한 사례관리 지원시스템과 재활 및 치유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부 교수는 “제주4·3생존희생자들은 지역사회 노인들과 비교해 평균적으로 삶의 질이 낮다. 사회적 장치를 통한 돌봄을 제공해 생존희생자의 삶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은 “이들은 70년 동안 국가폭력으로 인한 고통 속에 살고 있다. 돌아가시기 전에라도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지도록 생계비와 의료비 등이 지원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인숙 제주지역사회간호센터 소장은 “제주시에 생존희생자들을 위한 센터를 만들어도 원거리 거주자들은 이용하기에 불편하다. 보건소 등 접근 가능한 시설을 통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후유장애인협회는 이날 채택한 건의문에서 “국가폭력에 의한 희생자들은 고통 속에 마지막 생존을 이어가고 있지만 국가 차원의 프로그램은 전무한 편이다. 제주4·3특별법에도 희생자들에게 의료지원금과 생활지원금을 지급할 수 있다고 돼 있지만, 정부는 제주도에 이를 떠넘겨 국가폭력에 대해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며 “국가 차원의 생활지원과 의료비 지원, 요양비 지원 등 실질적인 지원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