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입장문 통해 “남경필은 준공영제 강행 무모함 버려야”
경기도의회·이재명 등 여당 도지사 후보들도 반대 가세
경기도의회·이재명 등 여당 도지사 후보들도 반대 가세
오는 20일 경기도의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과 관련해 경기 수원시가 졸속 추진을 이유로 이 제도의 도입 시기를 연기할 것을 촉구했다. 애초 수원시는 광역버스 준공영제 추진 초기 단계부터 도입 필요성에 공감하고 참여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올해 관련 예산 20억을 확보했었다.
수원시는 6일 “원칙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도시와 협력하지 않고, 소통 부재·일방적 배제로 일관한 경기도의 준공영제 시행은 많은 논란과 파행이 예상된다”면서 “지방선거 전 버스준공영제 강행이라는 무모한 시도를 접어달라”고 요구했다.
수원시는 이어 “이미 참여·미참여 시·군 간, 시내버스와 광역버스 간 운수 노동자 수급 불균형이 나타나고 있고, 이로 인한 버스운행 차질은 경기도민의 고통으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사업추진 의사가 있는 수원시까지 일방적으로 배제한 채 시행을 서두르는 것은 지방선거를 의식한 조급함으로밖에 이해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수원시 관계자는 “전체 광역버스의 3분의 1만을 대상으로 일방적으로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강행하겠다는 경기도의 성급한 결정에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면서 “준공영제 졸속 시행은 앞으로 더 많은 갈등과 파행을 야기할 것이 명약관화하다”고 지적했다.
경기도는 14개 시·군과 함께 59개 노선, 637대의 광역버스에 대해 20일부터 준공영제를 도입한다. 참여 시·군은 양주, 용인, 하남, 구리, 남양주, 포천, 가평, 파주, 광주, 의정부, 의왕, 과천, 군포, 안양이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소속 도의원들이 표준운송원가 산정 과정에서의 절차상 문제점을 이유로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반발하고 나서는 한편 이재명 전 성남시장·양기대 전 광명시장 등 경기지사 예비후보들도 반대 대열에 합류하는 등 논란이 확산하는 양상이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