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의눈
대구시교육청의 자료를 보면, 시 교육청과 구 교육청 4곳, 교육과학 연구원 등 산하 기관 13곳에 근무하는 교육 전문직 간부인 연구관은 11명 가운데 여성이 전혀 없다. 장학관도 33명 가운데 여성은 3명뿐이다. 일반직 교육 공무원 중에서도 3급 이상 공무원은 아예 여성이 없고, 4급은 19명 가운데 여성이 2명에 머물러있다.
그러나 대구시내 유치원, 초·중고교 691곳에 다니는 학생 45만8천여명 가운데 여학생은 20만6천여명으로 45%를 차지한다. 또 교사는 전체 2만1천여명 중 여성이 62%를 웃도는 1만3천여명을 넘는다.
30일 대구시 교육청을 행정사무 감사중인 대구시의회 교육사회위원회 정영애(59·남구) 의원은 “교사와 학생들 가운데 여성이 절반을 차지하는데도 교육청 간부 직원 중에는 여성을 찾아 볼 수 없다”며 “교육청이 여성을 홀대하는 이유가 무었이냐”고 따졌다.
답변에 나선 도정기 대구시 부교육감이 “남녀차별을 하지 않는다”고 말했지만 여성을 홀대받고 있다는 징후는 곳곳에서 나타난다. 교육청을 감시하고 감독하는 교육위원회에서도 교육 위원 9명 가운데 여성은 찾아 볼 수 없다. 가까운 부산과 울산에서는 여성 교육위원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 교육청에 자문 구실을 하는 각종 위원회 25곳 가운데 12곳에서도 여성위원이 한 명도 없다.
여성 공무원이 절반을 훨씬 넘지만 이들의 근무성적을 평정하고 조정하는 위원회는 위원 8명이 모두 남성이고, 근무평정 확인 위원회도 위원 전원이 남성으로 채워져 있다.
이 밖에도 징계위원회(9명), 고충심사위원회(6명), 검정고시위원회(7명), 근무성적 평정위원회(7명), 행정심판위원회(8명), 교육재정 계획심의위원회(11명) 등에서 여성 참여가 배제돼있다.
대구시의회 정 의원은 “교육 정책을 결정하고 수립할때, 여성의 입장에서 보고 생각하는게 굉장히 중요하다”며 “남성과 여성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면서 교육 정책을 결정할 수 있도록 여성이 진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당부했다.
대구/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