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시 서부신시가지에 위치한 대한방직 전주공장 자리에 143층의 대규모 타워를 짓는 계획이 발표되자, 공론화 과정을 생략했다는 등의 비판 목소리가 나온다.
지난해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 노른자위 땅인 대한방직 전주공장을 인수한 ㈜자광이 그 자리에 143층 높이(430m)의 익스트림복합타워를 건설하겠다는 세부계획을 지난달 30일 밝혔다. 청사진을 보면 지금의 터(21만6천㎡)에 143층 높이의 익스트림타워를 비롯해 3천여명을 수용할 수 있는 컨벤션센터, 호텔, 쇼핑센터, 아파트, 대규모 공원 등이 들어선다. 특히 타워는 350m 상공에 자이로드롭(올라갔다가 빠른 속도로 낙하하는 놀이기구), 360도 파노라마 전망대 등의 놀이시설을 갖춘다. 자광은 전체 면적의 50% 가량은 도심공원으로 조성해 전주시에 기부채납할 계획이다.
그러나 전북환경운동연합은 2일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부신시가지에 난개발을 부추기는 일방적인 143층 복합개발계획을 전면 재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복합개발계획의 실현가능성 여부를 떠나, 과연 전통문화도시 전주의 정체성을 담는 명소가 될 수 있을지 의문스럽다. 현재 서부신시가지가 안고 있는 도시계획 문제, 근처의 효천지구, 혁신도시 등의 변화를 전혀 고려하지 않아 도심에 고밀도 난개발을 심화시킬 뿐”이라고 주장했다.
이 단체는 “사익이 우선인 민간사업자의 도시개발사업 제안은 행정과 충분한 사전협의 아래 사업을 추진하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전주시가 최근 전북도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한 ‘2025년 도시기본계획 생활권별 인구배분계획조정안’이 과포화 상태 및 원도심 기능 저하 우려 등으로 이미 부결됐음에도,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은 전주시와 시민을 무시한 처사”라고 강조했다. 이 단체는 “전주시와 전북도는 사전협의 없이 제안된 사업에 끌려다녀서는 안 된다. 지방선거에 나오는 전주시장 예비후보자 등은 이 개발계획에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주시 관계자는 “복합개발계획에 대한 접수 자체가 안 됐다. 계획을 접수하면 공론화과정을 통해 개발이익환수 등에 대한 토론을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이 땅은 도시관리계획에는 일반공업지역으로, 2021년 도시기본계획에는 시가화용지로 예정돼 있고, 자광이 지난해 10월 1980억원에 매입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