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와 함께 농업인력지원센터를 가동해 마늘 수확 등 인력난을 겪는 영농인력 지원에 나섰다. 제주도 제공
농번기 일손이 없어 인력난을 겪는 가운데 제주도가 영농인력 지원을 위한 ‘제주농업인력지원센터’를 운영한다.
제주도는 올해 첫 권역별 균형발전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농업인력지원센터를 본격 마늘 수확 시기를 앞두고 일손 부족 해소와 도내외 유휴인력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가동에 들어간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제정한 제주도 농어업인력 지원에 관한 조례를 통해 센터 설립 근거도 마련했다.
도는 농업중앙회 제주지역본부에 2022년까지 5년 동안 17억여원을 투자해 마늘과 당근, 감귤, 월동채소 등 연중 밭일에 필요한 인력 확보가 가능한 인력전담센터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달 26일 농협 제주지역본부(농촌지원단)와 민간위탁 업무협약을 맺고 영농인력 마늘 수확단 운영추진 계획을 세웠다. 농업인력지원센터는 8명으로 꾸렸다. 농협중앙회 제주지역본부는 인력센터 구성과 농촌 일자리 알선·중개 수요조사, 농작업자 현장교육, 전용숙소 운영, 상해(손해)보험 가입, 인력수송 등을 맡는다.
이에 따라 센터는 이달부터 닷새 이상 인력지원이 가능한 도외인력으로 지역농협 및 도내 농업인단체와 자매결연을 맺은 10명 이상이 있는 단체, 마을, 대학동아리 등을 대상으로 인력모집에 나서 우선 마늘 수확에 필요한 인력 1300여명(연인원 2만여명)을 중개하기로 했다. 제주지역에는 현재 3500여 농가가 2230㏊의 마늘을 재배하며, 10여일이 소요되는 마늘 수확은 기계화가 이뤄지지 않아 모두 수작업으로 해야 한다.
센터는 일자리를 신청한 도내 인력에 대해서는 상해보험료와 교통비를 지원한다. 도외 인력에 대해서는 10일 이상 밭작업을 할 경우 항공료를 실비 제공하고, 숙박비는 1인당 하루 1만5천원, 상해보험료 하루 1만3천원을 지원한다.
문성찬 제주도 농업경영담당은 “행안부의 권역별 균형발전 시범사업에 선정돼 체계적인 지원을 받아 추진했다. 마늘 수확을 비롯해 농번기 인력수급을 안정적으로 중개하기 위해 자생단체 및 자원봉사단체 등과 협업해 인력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