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4월9일 남북 농업협력사업을 위한 경남도민대표단 97명이 1박2일 일정으로 평양을 방문했다. 당시 대표단은 부산 김해공항에서 전세기를 이용해 평양 순안공항으로 갔는데, 김해공항에서 남북 직항로로 민간 항공기가 운항한 것은 그때가 처음이었다. 경남도 제공
남북 화해 분위기에 힘입어 경남에서도 남북교류협력사업이 재가동된다.
경남도는 “10일 경남도청 도정회의실에서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통일단체 남북교류 간담회’를 연다”고 8일 밝혔다. 간담회에는 경남통일농업협력회, 우리겨레하나되기 경남본부, 하나됨을 위한 늘푸른 삼천, 6·15 공동선언실천 경남본부, 기아대책 경남본부 등 단체들이 참석한다. 경남도는 남북교류협력사업 추진계획을 설명하고, 교류협력사업 발굴을 위한 단체들의 의견을 모을 계획이다.
앞서 지난 3일 경남도는 산업경제점검회의를 열어 대북 제재가 풀리는 시점에 대비해 문화체육·농어업·산업경제·보건 등 분야별 교류협력사업을 집중적으로 발굴하기로 했다. 또 남북교류 중단 장기화에 따라 지난해 5월 비상설 기구로 전환한 남북교류협력위원회 등 관련 조직과 제도를 재정비하기로 했다. 경남발전연구원은 전문가 정책자문 등을 거쳐 ‘남북교류 기본구상’을 마련할 예정이다.
우명희 경남도 대민봉사과장은 “남북교류사업이 예전에는 단순히 물자지원 중심으로 이뤄졌으나, 이제는 지속 가능하고, 남북 주민 모두에게 도움이 되며, 북한 자체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사업으로 바뀌고 있다. 대북 제재가 풀릴 것에 대비해, 경남도 역시 이런 사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필요하다면 하반기 추경예산도 확보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남도와 경남지역 통일운동단체들은 2006년부터 활발하게 남북교류사업을 펼쳤다. 2007년 4월엔 김태호 당시 도지사 등 97명으로 이뤄진 도민대표단이 농업협력사업을 위해 전세기를 타고 북한에 다녀오기도 했다. 경남산 딸기 모주를 북한에 보내 북한에서 육묘한 모종을 다시 경남으로 가져와 재배하는 통일딸기 사업, 평양 강남군 장교리에 소학교 건립, 황해북도 상원군에 양묘장 조성, 평양 낙랑구역에 어린이 콩우유공장 건설, 개성인민병원에 어린이 의약품 보내기, 개성 개풍양묘장에 묘목 보내기 등 다양한 사업이 진행됐다.
하지만 남북교류사업은 2010년 ‘5·24조치’로 크게 위축됐고, 2013년부터 완전히 중단됐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집행된 경남도 남북교류협력기금은 26억2354만원이다. 경남도는 홍준표 도지사 시절이던 2015년 사용하지 않아 쌓여있던 67억3306만8000원을 일반회계로 넘기고 남북교류협력기금을 없앴다. 경남도는 올해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위해 예산 2억원을 확보한 상태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