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낙동강 경남 네트워크’는 10일 기자회견을 열어 낙동강 보 수문의 즉각 개방을 정부에 요구했다.
경남 환경단체들이 낙동강 보 수문 즉각 개방을 요구하며, 정부의 수문 개방 전 환경변화 추가 관찰 계획에 반발하고 나섰다.
경남지역 환경단체들로 이뤄진 ‘낙동강 경남 네트워크’는 10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4일 발표된 감사원의 4대강 사업 4차 감사 결과를 통해, 4대강 사업은 이명박 전 대통령과 공무원, 국책연구기관 전문가들이 합작해서 벌인 대국민 사기극이었음이 드러났다. 4대강 사업을 인정할 수 없으며, 낙동강 보에 대한 추가적인 관찰이 필요하다는 정부 계획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애초 쓸모없던 4대강 사업에 22조원을 쏟아부어서 이득을 본 것은 공사에 참가한 대기업이었고, 국민에게 돌아온 것은 맹독성 녹조 배양장으로 변한 죽음의 강뿐이었다. 국민 생존권마저 위협한 이명박 전 대통령과 4대강 사업에 부역한 공무원들을 처벌해, 이런 허황한 사업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29일 국무조정실은 통합물관리 상황반 회의를 열어 지난 1년 동안 진행한 4대강 보 개방·모니터링 중간결과를 점검하고 이후 계획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낙동강 보는 대규모 취수장·양수장 때문에 부분적으로 개방됐는데, 보 처리계획 마련을 위해서는 보다 충분한 보 개방과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에 따라 국무조정실은 낙동강 보에 대해선 용수공급 대책을 보강해 보 개방을 확대한 뒤, 추가 모니터링을 진행해서 처리계획안을 마련토록 했다.
이에 대해 임희자 ‘낙동강 경남 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낙동강 보 수문을 완전히 열면, 경남구간에서만 40여개 양수시설이 물 공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된다. 정부는 지금까지 이를 개선할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았다. 이는 결국 낙동강 보 수문을 개방하려는 생각이 없다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낙동강 경남 네트워크’는 낙동강 보 수문을 열었을 때 어떤 문제가 발생하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며, 여기에 얼마의 비용과 시간이 필요한지를 논의하기 위한 ‘보 개방 후 생태변화 모니터링 민·관 협의회’를 19일 열자고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제안했다.
앞서 지난 6일 김경수 경남지사는 <한겨레>와 인터뷰에서 “보 수문 전면 개방이 필요하다. 특히 낙동강에는 장마 이후 또다시 녹조 문제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수문을 전면 개방해야 한다. 보 철거 여부는 수문 개방 이후 생태계 변화 등을 지켜보며 판단하면 된다”고 보 수문 개방에 대한 견해를 밝힌 바 있다. 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