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수도권 직행좌석버스 입석 운행 금지가 시행됐을 당시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들로 줄 선 경기도 성남시 버스정류장의 모습. 성남/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수도권의 혼잡한 교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와 수도권의 세 지방정부가 ‘대도시권 광역교통청’을 설립하기로 뜻을 모았다.
국토교통부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는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정책간담회를 열고 교통, 주택, 도시 등 수도권의 시급한 공동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 정책을 신속히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세 지방정부는 이날 수도권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내용을 담은 ‘국토교통 분야 업무 협력 강화를 위한 합의문’을 발표했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출퇴근과 주거 같은 일상의 어려움이 해소되지 못하면 삶의 질 향상이 어렵다. 이번 합의를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한 합의문을 보면, 세 지방정부는 ‘대도시권 광역교통청’을 설립해 수도권의 교통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기로 했다. 직장인 출퇴근 시간이 하루 90분에 달하는 만성적 교통난 해소를 위해 환승센터를 구축하고, 광역교통체계 개선에 예산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대도시권 광역교통청이 만들어지면 그동안 타당성 심사 등으로 지체됐던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건설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또 그동안 각 지방정부들 이해관계에 얽혀 추진되지 못했던 버스 준공영제도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 52시간 노동시간 단축에 따라 버스 종사자 근로여건을 개선하는 것에도 세 지자체가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한편, 세 지방정부는 청년·신혼부부·어르신·저소득 취약계층 등의 맞춤형 주거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우수한 공공주택 입지를 발굴하는 데 힘을 합치기로 했다. 이번 합의에서 수도권에 ‘신혼희망타운’ 10만호를 차질없이 공급하기 위해 도심 역 주변과 유휴지, 보존 가치가 낮은 개발제한구역을 활용해 새 공공주택 지구를 적극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