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지난 11일 제주공항 주변 개발구상안을 발표하고 있다.
제주도가 가칭 ‘제주웰컴시티’를 개념으로 한 제주국제공항 주변 개발 계획을 전면 재검토한다. 제주도는 애초 대중교통체계 개편에 따라 추진했던 제주공항 광역복합환승센터 건립 계획이 사실상 신도시 개발 계획으로 변질해 주민과 도의회 등으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도는 원희룡 제주지사가 지난 22일 이양문 도시건설국장 등 관련 공무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현안조정회의를 열고, 개발구상안의 재검토를 지시했다고 23일 밝혔다.
도는 애초 지난해 대중교통체계 전면 개편과 제주공항 주변 도로의 교통체증과 환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국제공항 주변에 광역복합환승센터를 건립하기로 하고 용역을 발주했다.
그러나 지난 11일 나온 개발구상안은 관문도시, 복합도시, 자족도시를 결합한 ‘제주웰컴시티’ 개념으로 5천 가구 규모의 주거·복합문화·업무시설을 주기능으로 하고, 쇼핑·의료·체육시설 등을 부기능으로 하는 신도시 개발 계획으로 바뀌었다. 이 구상안에 따르면, 제주공항 주변 다호마을 전체 59가구는 이주하고, 20층 이상의 고밀도 아파트 건설 등도 포함돼 있다. 개발구상안이 발표되자 공항 주변의 교통문제와 도시 균형발전, 마을주민 이주 등의 문제가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지역주민들과 도의회 등도 제주도의 계획을 비판했다. 주민들은 주민설명회와 공청회에서 난개발 우려 등 기본계획의 대폭 수정을 요구했고, 일부 토지주와 주민들은 충분한 토지 보상과 개발 방식, 주민 의견 수렴 등에 문제를 제기했다. 지난 16일 열린 도의회 환경도시위원회에서 열린 제주도의 업무보고에서는 의원들이 교통 문제와 구도심 공동화 우려, 집값 상승 등을 이유로 제주도에 사업 재검토를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원 지사는 “도민과 의회의 의견을 최대한 수용해 지속성장이 가능한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대규모 신도시 개발사업은 제주도 전체적인 도시계획 측면에서 접근해야 하고, 도민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공공성 확보 여부 등에 대한 신중한 고민과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원 지사는 또 “제주공항 주변 지역 개발 계획은 광역복합환승센터 조성과 연계해 신성장 거점으로 제시토록 한 것인데, 의욕적인 그림을 그리다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됐다. 논란이 되는 5천 가구 규모의 아파트단지 조성과 임대주택 건설 방안 등은 주변 여건과 맞는지 재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도는 이달 말까지 도민 의견을 수렴하고, 의견 수렴이 끝나면 개발구상안을 재검토하기로 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