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속노조 성동조선지회는 회사 쪽의 대규모 인적 구조조정에 맞서 지난 6월부터 경남도청 들머리에서 농성하고 있다. 고 노회찬 국회의원의 장례식 전날인 지난달 27일 여영국 정의당 경남도당 위원장은 노 의원의 영정사진을 안고 농성장을 방문했다.
매각 절차에 들어간 성동조선해양㈜를 되살리기 위해 시민들이 나섰다.
‘통영·고성 조선소 설립 추진을 위한 시민모임’은 14일 “㈜통영·고성 조선소를 설립하기 위해 통영시민과 고성군민을 상대로 1인 1주식 갖기 운동을 시작했다. 올해 연말까지 통영시민과 고성군민 1만명이 1주당 1만원 하는 주식을 구입해 주식회사를 설립한 뒤, 성동조선 매입에 나서는 것이 1차 목표”라고 설명했다.
시민모임은 또 “통영시민과 고성군민이 주식회사를 설립할 자본금을 마련하는 것은 성동조선을 되살릴 ‘마중물’을 만드는 것이다. 시민모임의 최종 목표는 성동조선을 국유화하도록 여론을 모아 정부를 설득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동조선의 대주주인 한국수출입은행은 지난 3월22일 창원지방법원에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했고, 창원지법은 기업회생과 매각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고 있다. 매각 주관사로 선정된 삼일회계법인은 11월 초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 올해 연말 매각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만약 매각을 실패하면, 성동조선은 파산 절차를 밟게 된다. 165만여㎡에 이르는 땅과 각종 시설·설비가 여러 조각으로 나뉘어 팔릴 수도 있다.
성동조선을 인수하려면 4500억~7000억원을 들여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시민모임은 현재 조선 경기를 볼 때 성동조선을 인수하려는 기업은 없고, 따라서 매각은 실패할 것으로 전망한다. 시민모임은 매각이 실패해서 파산 절차로 넘어갈 시점에 우리 정부가 개입해 성동조선을 인수하면 될 것으로 본다.
시민모임 대표를 맡은 진의장 전 통영시장은 “성동조선은 현대, 대우, 삼성 등 이른바 ‘빅3 조선소’가 포기한 대형 벌크선을 생산할 수 있는 국내 최대 중견 조선소이다. 마침 우리 정부는 해운 재건 5개년 계획에 따라 앞으로 5년 동안 500만톤의 벌크선을 발주할 방침이다. 따라서 성동조선이 이 물량의 상당량을 확보한다면 되살아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성동조선은 대규모 구조조정을 통한 몸집 줄이기를 추진하고 있는데, 만약 벌크선 제작을 수주한다면 구조조정이 아니라 기술 인력을 더 채용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남 통영에 본사를 둔 성동조선은 한때 세계 8위까지 오른 국내 대표적 중견 조선소이다. 하지만 2008년 국제금융 위기 이후 경영 악화를 겪으면서, 2010년 채권단 공동관리에 들어갔고, 공적자금 3조1000억원이 투입됐으나, 경영 정상화에 실패했다.
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