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버스업계와 택시업계가 첨예하게 맞서고 있는 간선급행버스(BRT) 도입 여부가 다음달 6일 결정된다.
비아르티 정책 결정을 위한 시민공론화위원회는 5일 부산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공론화위원회 일정을 마련했다. 다음달 10일 최종 결론을 도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공론 절차는 9일 비아르티를 찬성하고 반대하는 전문가들이 1차 텔레비전 토론회에 참석해서 의견을 개진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어 18일까지 지역·성별·연령 등을 고려해서 선정한 부산시민 25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다.
투표를 통해 비아르티 정책 결정을 하는 시민참여단은 150명이다. 찬성·반대·유보 입장을 밝힌 시민 각 50명씩에 평소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 종류에 따라 대중교통 75명과 택시·자가용 75명, 지역·성별·연령 등을 고루 배려했다. 시민참여단은 오리엔테이션과 2차 텔레비전 토론회 청취, 찬성·반대 자료집 학습 등을 하고 1박2일 합숙해서 토론하는 과정을 거쳐 다음달 6일 투표를 통해 최종 입장을 결정한다.
부산시는 2014년부터 7개 주요 도로 88.7㎞의 중앙 2개 차로에 하루 24시간 버스만 다니는 비아르티 시스템을 본격 도입했다. 지난 1월 동래구 내성교차로~해운대구 운촌삼거리 8.7㎞를 처음 개통했고, 운촌삼거리~해운대 중동지하차도 1.7㎞와 중앙대로 동래~서면 5.9㎞를 추진하다 지방선거 직후인 6월20일 사업을 중단했다. 이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공약한 오 시장이 당선됐기 때문이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