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병수 전 부산시장 재임 때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세월호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영화 <다이빙벨> 상영을 두고 갈등을 빚은 부산시와 영화계가 부산영상위원회 운영위원장 선임을 두고 다시 맞서고 있다.
부산시는 “부산영상위원회 운영위원장 내정자인 김휘 감독이 내정 철회를 요청해, 17일 예정이던 부산영상위 임시총회를 연기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부산시는 애초 임시총회에서 7개월째 공석인 부산영상위 운영위원장에 김 감독을 확정할 방침이었다. 이에 따라 부산영상위 운영위원장 선임은 무기한 연기됐다.
부산영상위는 부산시가 1999년 12월 만든 국내 최초 영화 촬영 지원기구다. 부산에서 제작하는 영화들을 지원하고, 부산 영상·영화산업 발전 정책을 만들어 집행한다. 시장이 당연직 위원장이고 실무를 총괄하는 운영위원장은 시장이 총회 인준을 거쳐 임명한다. 시장이 운영위원장을 내정하면 총회에서 이변이 없는 한 확정된다.
앞서 지난 12일 부산독립영화협회, 부산영화감독협의회 등 7곳이 참여하는 부산영화인연대는 성명을 내어 “부산시는 김 감독의 내정을 철회하고 공개모집을 통해 신임 운영위원장을 선임하라. 최윤 전 운영위원장의 명예회복 방안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2016년 9월 취임한 최 전 운영위원장은 지난 2월 연임이 유력했으나 부산시가 다시 위촉하지 않았다.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다이빙벨>을 상영했다가 2016년 2월 물러난 이용관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의 복귀를 주장하는 발언을 최 전 운영위원장이 공·사석에서 한 것이 올해 초 서병수 당시 시장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용관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이 공모를 통해 올해 1월 부산국제영화제 민간 이사장으로 선임되자 지역 영화인들은 최 전 운영위원장의 복귀를 요구했다. 하지만 지난 7월 취임한 오거돈 시장은 예상과 달리 김 감독을 내정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영화계의 목소리가 다양해서 부산영화인연대의 입장만 반영할 수가 없다. 시장은 부산 영화계를 발전시킬 최상의 적임자를 운영위원장으로 선임한다”고 말했다.
부산영화인연대 관계자는 “김 감독이 영화인들의 반대에 부담을 느끼고 내정 철회를 요청한 것으로 안다. 김 감독은 부산독립영화협회 창립 멤버여서 지역 영화인들과 관계가 좋고 도덕성에도 문제는 없지만 낙하산 인사를 내정하는 관행을 바꾸기 위해 반대하는 것이다. 김 감독 임명을 강행하면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