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신안군 하의도 해상에 침몰한 제7해성호 위치와 잔존유 피해 예상지역
전남 신안군 하의면 신도 남서쪽 3㎞ 해상에서 지난 1990년 7월6일 화물선끼리 충돌하는 사고가 났다. 이 사고로 1578t급 제7해성호가 수심 16m 아래 가라앉았다. 이후 27년이 경과한 이 배는 선체의 침식이 심해 파손 부위가 넓어지고 있다. 전체 선령이 44년으로 선체가 낡을 대로 낡아 잔존유 82㎘가 새나갈 위험이 크다. 일단 기름이 새면 3~4노트의 강한 조류를 타고 양식장이 밀집한 도초도~안좌도 사이 해역에 밀려들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 사하구 서도등대 남서쪽 5㎞ 해상에서는 1992년 6월5일 2944t급 화물선 제헌호가 24m 바닷속으로 가라앉았다. 선령 47년인 이 배 안에는 아직도 연료 152㎘가 남아있다. 더욱이 선체가 뒤집힌 상태여서 연료탱크 부위가 위쪽을 향한 채 부식이 진행 중이다. 유출사고가 나면 해상교통의 요충인 가덕도~다대포~태종대 연안이 오염 범위에 들어가는 상황이다.
전국 연안 바다에 침몰한 뒤 인양하지 않은 선박이 2200척에 이른다. 이들 선박에 남아있는 기름은 1만3849㎘로 추정된다. 이는 1995년 여수 시프린스호 사고 때 유출량 5000㎘의 2.7배, 2007년 태안 스피리트호 사고 때 유출량 1만5000㎘에 육박하는 양이다.
서삼석 민주당 의원은 15일 해양환경공단이 제출한 침몰선박 현황을 분석해 “1983~2017년 침몰한 선박이 연평균 65척에 이르지만, 현장조사와 사후처리는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해역별로는 남해에 42%인 925척이 침몰했고, 서해에 823척(37%) 동해에 452척(20%)이 잠겨 있다. 이 가운데 선박의 규모와 선령, 잔존유 양, 해역의 깊이와 유속 등을 고려했을 때 해양오염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큰 선박은 76척(잔존유는 6400㎘)이다.
해양환경공단은 중점관리선박 중 16척을 2014~2017년 4년 동안 현장조사했다. 이어 내년에는 위해도가 높은 전남 신안군의 제7해성호와 부산 사하구의 제헌호 등 2척에서 남은 기름을 빼내기로 했다. 침몰선박의 인양이나 방제 등 사후처리는 일차적으로 선주들이 책임을 져야 한다. 하지만 선주 대부분이 막대한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책임을 회피하면서 그대로 바닷속에 방치돼 왔다.
서 의원은 “2007년 태안 사고 때 잔존유 제거에만 7년이 걸렸고, 환경적 경제적 정신적으로 천문학적인 피해가 발생했다. 침몰선박이 해마다 수십척씩 늘어가는데 정부의 대응은 안일하고 태평하기만 하다. 생활터전을 순식간에 쑥대밭으로 만들 수 있는 시한폭탄을 안고 살아가는 어민들의 시름을 덜어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