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 <한겨레>자료사진
자유한국당이 서울시 산하 서울교통공사의 특혜 채용 의혹을 추가 폭로하며 맹공을 퍼붓자 교통공사도 적극적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서울시는 “의혹이 제기된 만큼 사실관계를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할 책임이 있다”며 이 사안에 대해 감사원에 감사를 요청했다.
김용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은 17일 서울시 산하 서울교통공사의 특혜 채용 의혹과 관련해 “무기계약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모든 과정을 총괄한 사람이 김아무개 당시 기획처장, 현재 인사처장인데 그의 부인이 서울교통공사 식당에서 일하는 무기계약직이었다가 이번에 정규직이 됐다”고 추가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면서 “이 인사처장이 이번에 공개된 (정규직 전환) 108명의 명단에서 자기 부인의 존재 여부를 뺐다”고 지적했다.
김 사무총장은 이와 함께 2016년 9~12월 무기계약직으로 들어와 정규직으로 전환된 임아무개와 정아무개의 채용 과정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스크린도어 개·보수 담당으로 들어왔는데 관련 자격증이 없었으며, 들어와선 피에스디(PSD·플랫폼스크린도어) 노조 지부를 주동해 만들었다”며 “임씨는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 시절 홍보부장 출신으로 2014년 통합진보당 관악구 구 의원에 출마했고 정씨는 통합진보당 서울 광진구 구 의원 출마자로 둘 다 민주노총이 지지하던 후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자유한국당은 서울교통공사의 특혜 채용 비리에 대해 국회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18일 서울시를 대상으로 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추궁할 계획이다.
서울교통공사는 이날 김 사무총장이 제기한 ‘친인척 108명 채용특혜’ 의혹 전반을 맞받아쳤다. 먼저 김 사무총장이 무기계약직 전환 과정에서 특혜를 받았다고 지목한 108명 가운데 34명은 2016년 구의역 사고 이전에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 인원으로 의혹 대상이 아니라고 밝혔다.
또 문제가 된 74명 가운데 36명은 민간 위탁업체 소속이었으나 구의역 사고 이후 안전 문제가 부각되면서 직영화하는 과정에서 무기계약직으로 채용됐다고 설명했다. 이들 36명은 제한 경쟁 과정을 거쳤는데, 유사·동일 업무 경험, 면허·자격증 등 일반 채용 조건을 만족했다는 게 공사의 설명이다. 74명 가운데 나머지 38명은 일반 직원과 똑같은 공개 채용 전형을 통해 선발했다.
아울러 공사는 김 사무총장이 이날 추가 제기한 ‘의도적 명단 누락’ 의혹에 대해서는 “108명의 명단에서 인사처장의 배우자가 누락된 대신 김아무개 직원의 사촌이 중복 기재됐다”며 “(인사처장이)고의로 명단에서 (배우자를) 뺏는지 등을 철저히 조사하기 위해 인사처장을 직위 해제했다”고 밝혔다. 다만, 공사는 “인사처장의 배우자는 2001년 7월 기간제 근로자로 채용됐다. 무기계약직의 일반직 전환 시 채용된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서울시는 공사 채용 과정 전반에 대해 감사원 감사를 공식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감사 결과 혹시라도 문제가 드러나면 서울시 차원의 가능한 모든 조처를 해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채윤태 송경화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