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후 수원대 노조사무실에서 재학생과 교수 등 구성원들이 교육부에 관선이사 파견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수원대 교수협의회 제공
학원 비리로 몸살을 앓고 있는 수원대학교 재학생과 교수·노조 등이 학교 정상화를 위해 관선이사 파견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대학노조 수원대 지부, 수원대 교수협의회, 수원대 권리회복 민주학생운동, 전국대학노동, 민주노총 등은 22일 오후 수원대 노조 사무실에서 ‘수원대학교 재단(학교법인 고운학원) 관선이사 파견 촉구’ 기자회견 열었다.
이들은 “이인수 전 총장과 재단, 보직교수들의 비정상적인 학교 운영으로 구성원들이 겪는 피해가 날로 커지고 있다. 교육부는 현 재단 이사들을 해임하고 하루빨리 관선 이사를 파견해 수원대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현재 이사회는 이사 8명, 감사 2명이 정원이지만, 현재 이사 3명과 감사 1명밖에 없어 어느 안건도 심의·의결할 수 없는 구조다. 남아있는 이사들마저 학교가 부실하게 운영되는 것을 방관해왔다”라고 덧붙였다.
이어 이들은 “교육부는 비리 후유증의 심각성을 파악하고 오랫동안 제 역할을 하지 못한 학교법인 고운학원 이사 전원을 해임하고 조속히 관선이사를 파견하여 수원대학교를 정상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지난 16일 민변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 전 총장이 횡령·배임 혐의를 받고 있음에도 아직 구속되기는커녕 압수수색조차 받지 않고 있다. 대통령, 검찰총장, 대검 감찰부 등에 수차례 진정을 냈음에도 수원지검은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민변은 이어 “이 전 총장이 학교 행정을 막후 조종한다고 볼 개연성이 있는 상황에서 수원대는 3년 연속 하위 평가를 받으며 교육환경이 멍들어가 학생들에게도 막대한 불이익을 끼치고 있다. 학생들에게 돌아가는 피해를 더는 두고 볼 수 없는 만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가 올해 국정감사에서 사실관계를 감사하고 속히 제대로 된 조처를 하도록 강구해달라”고 요구했다.
한편, 교육부는 지난해 이 전 총장이 교내 행사 300여 건의 일감을 자신의 가족이 운영하는 회사에 몰아주고 교비 19억여원을 지급한 혐의 등이 있다며 검찰에 고발했다. 또 수원대 교수협의회와 참여연대 등은 지난 5월 이 전 총장이 2008년부터 최근까지 27억여원의 교비를 횡령했다며 검찰에 추가 고발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