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화물선, 컨테이너 선적. 크레인 무역회관에서 바라본 부산항.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한겨레> 자료사진
부산항만공사(BPA)에서 퇴직한 뒤 부산항관리센터 본부장으로 일하는 김아무개(59)씨는 지난해 8월 전 직장 후배(58)의 딸과 관리센터 직원(57)의 친척이 관리센터 안전분야 직원 채용 서류전형에서 응급구조사 자격증 미비로 서류전형에서 불합격하자 임의로 합격처리 해 면접시험 응시 기회를 줬다. 같은 해 10월 전 부산항보안공사 본부장(63)의 아들이 화물 분야 직원 채용에 응시하자 보세사 자격증이 없는데도 서류전형 합격자로 선발했다.
추아무개(63)씨는 사장 때인 2016년 12월 지인의 아들을 기술직에 합격시키려고 채용 담당자한테 서류전형 평가서류와 면접 심사 서류 등을 허위로 작성하게 했다. 관리센터 전 경영지원실장 백아무개(57)씨도 관리센터 터미널 소장 때인 2014년 6월 부산항만공사에 일하는 임원 등에게 연락해 자신의 처조카가 센터 직원으로 채용될 수 있도록 요청했다. 이들이 부정 채용한 직원들은 모두 최종합격해 관리센터에서 일하고 있다.
부산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2014년부터 3년 동안 직원 공개채용 절차를 위반해 특정 지원자 6명을 합격시킨 혐의(위계·위력에 의한 업무방해 등)로 김씨 등 7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직원 채용에 필기시험이 없어 채용 담당자가 지원자의 응시자격 요건, 경력, 자격증 등을 고려해 서류전형 합격자로 선발해도 상급자가 결과를 뒤집거나 면접위원으로 직접 참여해 특정인에게 고득점을 줄 수 있는 구조라고 경찰은 설명했다.
이들은 경찰에서 “부산항만공사 등 유관기관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채용 청탁을 쉽게 거절할 수 없었다”고 범행을 시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현직 관리센터 사장은 부당 지시와 관련된 혐의를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리센터는 부산항만공사의 위탁을 받아 항만시설과 여객 터미널을 관리하는 비영리 사단법인이다. 경찰은 수사과정에서 드러난 부정채용 대상자 명단을 센터 쪽에 통보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