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병 서울시 행정1부시장이 24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서울교통공사의 채용비리 의혹과 관련,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추진 경과에 관해 설명을 하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서울시가 자유한국당 등 보수야당의 ‘서울교통공사 친인척 특혜 채용 의혹’ 제기에 유감을 표명하며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는 부분에 대해선 향후 분명한 책임을 묻겠다”고 강경 대응에 나섰다. 자유한국당과 보수언론이 이 사건을 ‘문재인·박원순·민주노총이 얽힌 권력형 채용비리’로 몰아가며 정쟁화하는 것을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윤준병 서울시 행정1부시장은 24일 오전 서울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무책임한 정치 공세에 대해 서울시는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기 전이라도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된 보도와 정치 공세에 대해서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윤 부시장은 “제기된 의혹이 대부분 명확한 실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도 일부 정치권은 가짜뉴스와 허위자료를 확대 양산하며 ‘차별적 고용구조’를 해결하려는 서울시 노동정책의 본질을 폄훼하고 있다”고도 했다.
윤 부시장은 이후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가짜뉴스’의 고의성이 있었다고 판단되는 언론매체에 대해서는 정정보도 청구와 민사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있도록 법적 조처를 하는 것을 고려하겠다. 사실과 다른 주장을 한 국회의원도 면책특권이 적용되지 않는 선에서 법적 조처를 할 수 있는 방법을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윤 부시장은 ‘교통공사의 친인척 채용 특혜로 청년들이 일자리를 빼앗겼다’는 자유한국당의 주장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그는 “비정규직 정규직화 정책 대상자는 일반적인 취업준비생들이 지망하는 일자리와는 전혀 다른 안전문 보수원, 경비, 청소 노동자 등이다. 비정규직 정규직화는 ‘일자리 뺏기 정책’이 아닌 ‘일자리 더하기’ 정책”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교통공사의 경우 신규 공채 규모가 지난해 429명에서 올해 655명으로 226명이나 증가했다”며 “일부 정치권에서 ‘을과 을’의 싸움을 조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준병 서울시 행정1부시장(왼쪽),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이 24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열린 서울교통공사 채용비리 의혹에 관한 서울시 입장발표 기자회견에서 취재진 질문을 받고 대화를 나누고 있다. 김봉규 선임기자 bong9@hani.co.kr
서울시가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지만, 전개되는 상황은 간단하지 않다. 지난 3월 무기계약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된 1285명 가운데 공사 직원 중 친인척 관계에 있는 이들이 추가 확인되면서 의혹 연루자가 애초 이야기된 108명(8.4%)이 아니라, 최소 112명(8.7%)까지 확대되는 등 공사의 자체 조사 신뢰도가 떨어지는 상황이다.
자유한국당은 ‘적반하장’이라며 공세를 이어갔다. 김용태 자유한국당 사무총장은 이날 입장문을 내어 “정치권의 정당한 의혹 제기에 대해 서울시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나면 책임을 묻겠다’며 법적 대응까지 시사한 것은 적반하장”이라며 “자유한국당은 채용과정에서 비리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정확하게 따져보기 위해 국정조사를 추진하고 과정과 결과를 낱낱이 국민에게 공개하겠다. 논점을 흐리는 서울시의 변명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