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4·3유족회와 평화재단 등은 지난 7월10일 제주공항에서 4·3 행방불명 희생자 유해발굴을 위한 개토제를 가졌다.
제주4·3 당시 제주공항 터에서 학살돼 암매장됐다가 옮겨진 것으로 추정되는 4·3희생자의 유해가 발굴돼 일반에 공개된다.
제주4·3평화재단은 제주공항에서 100여m 떨어진 제주시 도두동 매장 추정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성인 유해 2구와 10대 초반 어린이 유해 1구, 2~3살로 추정되는 영유아 유해 1구 등 모두 4구의 유해가 발굴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들 유해는 제주공항 터에서 학살돼 암매장됐다가 공항 확장 과정에서 옮겨진 것으로 보인다. 재단 쪽은 1973년 공항 확장공사를 하다 노출된 유해를 종이에 싸서 도두동 인근 밭에 옮겨 매장했다는 증언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유해가 발굴된 지점은 공항에서 100여m 떨어진 곳으로 수풀이 우거져 현장 확인이 어려워 굴삭기 등을 동원해 주변을 정리한 결과 증언과 일치하는 지형으로 확인됐다. 재단은 유전자 감식 등의 방법을 동원해 신원을 확인할 계획이다.
앞서 재단은 지난 7월 개토제를 시작으로 제주공항 활주로 인근에서 4·3 행방불명 희생자 유해발굴 작업을 벌였으나 확인하는 데 실패했다. 공항 안에서는 지난해 12월 제주4·3연구소의 긴급 조사 용역보고서와 지난 4월 재단이 추진한 탐사 결과를 토대로 3개 지점에 대한 시굴조사를 3개월 동안 벌였다.
재단은 4·3 당시 학살 암매장 구덩이를 확인하기 위해 넓이 9900㎡땅에 최대 12m 깊이까지 굴착했으나, 공항 안에서는 4·3 희생자 유해를 확인하지 못했다. 4·3 전문가들은 “제주공항 확장공사 당시 굴착공사 등으로 지층이 교란되는 현상이 나타나거나 유해를 확인하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재단은 오는 30일 제주공항과 도두동 유해발굴 지점에서 현장설명회를 열어 그동안의 유해발굴 작업 과에 대해 설명할 계획이다. 제주시 조천읍 북촌리와 선흘리 등 유해 암매장 추정지에 대한 발굴 작업도 올해 이뤄진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