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현재 4600여대인 전기차를 2022년까지 3만대로 늘리고 경유 버스도 단계적으로 줄이기로 했다.
도는 ‘미세먼지 걱정 없는 새로운 경기도’ 조성을 목표로 이런 내용이 담긴 미세먼지 종합대책을 30일 발표했다. 이는 2022년까지 49개 사업에 총사업비 1조7671억원이 들어가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핵심은 연평균 27㎍/㎥인 도내 미세먼지(PM2.5) 농도를 2022년까지 33% 낮춘 18㎍/㎥로 줄이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현재 4638대인 전기차를 2022년까지 3만대 규모로 확대하고, 수소차도 620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또 경유 버스를 단계적으로 친환경 버스로 대체하고, 노후 차량에 대한 관리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생활주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한 방안도 담았다. 공사장과 도로변 등에서 날리는 먼지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폐기물 불법소각 행위 근절을 위한 단속 강화 및 신고포상금 지급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영세사업장의 먼지 발생 방지시설 지원을 강화하고, 미세먼지 알림서비스도 확대하기로 했다. 또 유아·어린이, 노인 등 미세먼지 민감계층의 건강보호를 위한 사업을 확대하고, 다중이용시설 실내공기 질 조사를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도는 중앙 정부와 동북아 주요 도시와 함께 대기오염 감축을 위한 논의를 이어가고, 북한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북한과도 협력할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이번 대책은 미세먼지 배출원에 대한 분석과 예산확보 가능성, 중앙 및 인접 시·도와의 협업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마련한 것”이라며 “효율적인 추진을 통해 미세먼지에 대한 도민 불안을 해소하겠다. 도가 2022년 달성을 목표로 하는 연간 평균 미세먼지 농도 18㎍/㎥는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미세먼지 연평균 농도(15∼16㎍/㎥)에 근접하는 수준이다”라고 밝혔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