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30여 마리의 유기견 들어오는 경기도 양주 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에 있는 유기견 모습. 사진 정용일 기자
서대문구에 사는 김아무개씨는 얼마 전 17kg의 큰 몸집을 가진 반려견 ‘곤’을 잃어버렸다. 김씨는 현관문이 열린 틈을 타 나가버린 곤을 반나절 동안 찾지 못해 애가 탔다. 하지만 내장형 마이크로칩 시술로 서울시에 동물 등록을 한 곤은 이내 김씨의 품으로 돌아왔다.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에서 곤을 보호하고 있다는 전화를 받는 김씨는 지난해 동물 등록을 한 효과를 실감했다. 곤은 교통사고를 당했지만 다행히 몸에 내장된 칩을 이용해 서울시에서 주인을 파악했고, 방치되지 않고 주인 품으로 바로 돌아올 수 있었다.
반려 동물의 등록을 활성화해 유기동물을 줄이고자 2013년부터 시행 중인 서울시 동물 등록제가 5년째를 맞이했다. 동물 등록제는 내장형 칩 시술이나 외장형 전자태그 장착, 인식표 목걸이 등으로 반려동물에게 고유번호를 부여한 뒤, 소유자의 이름·연락처·주소·품종·연령 등을 시가 운영하는 관리시스템에 등록하는 것이다. 현재 서울시는 3개월령 이상의 반려동물은 모두 등록 대상으로 하고 있다.
동물 등록제는 반려동물의 실태를 파악하고 유기동물의 안락사를 줄이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는 게 서울시의 설명이다. 서울시가 낸 자료를 보면, 서울시 유기동물은 2013년 1만1395마리에서 지난해 8632마리로 감소했다.
동시에 서울시에 등록된 동물은 2013년 15만3000마리에서 올해 10월 기준 28만5000마리로 꾸준히 증가했다. 이 중 내장형 칩으로 동물 등록을 한 경우는 2013년 4만3000마리에서 올해 11만 마리로 늘었다. 지난해 10월 문을 연 서울동물복지지원센터는 “1년 사이 유기동물 141마리 중 10마리를 내장형 동물 등록으로 주인을 찾아줬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내년에도 예산을 투입해 내장형 동물 등록제를 본격 지원할 방침이다. 일반적으로 내장형 칩 시술 비용은 4만5000원에서 7만원 사이지만 서울시는 서울시수의사회, 손해보험협회 등과 협약을 맺어 1만원에 시술이 가능하도록 했다. 서울 시민이라면 서울 시내 900여곳 동물병원에서 1만원으로 내장형 동물 등록이 가능하다.
반려동물에게 내장형 칩을 통해 지자체 등록을 의무화한 나라들도 계속 늘고 있다. 개의 내장형 칩 의무 등록을 법제화한 나라는 프랑스·영국·덴마크·스위스·네덜란드·캐나다·홍콩·이스라엘·뉴질랜드 등이다. 미국도 캘리포니아·텍사스·일리노이주 등에서 의무화돼있다. 오스트레일리아도 빅토리아·퀸즐랜드주 등에서 시행 중이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