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시설물 건축 현장에 노동자의 출입을 자동으로 기록하는 전자카드 단말기가 설치됐다. 현장 노동자들이 하도급업체들로부터 임금과 퇴직금을 떼이는 피해 사례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는 6일 “고용노동부 산하 기관인 건설근로자공제회와 함께 부산시와 산하 기관이 발주한 공사규모 50억원 이상 공사현장 12곳에 건설노동자들이 출입하는 것을 기록하는 전자카드 단말기를 시범 설치한다”고 밝혔다.
전자카드 단말기는 건설노동자들이 단말기에 등록된 전자카드를 대면 실시간으로 출입이 기록된다. 이를 바탕으로 시공자가 건설근로자의 퇴직 공제부금까지 신고할 수 있다. 부산시는 “임금 미지급과 사업자의 퇴직금 허위 신고 및 신고 누락을 방지하고, 안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신속한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자카드 단말기가 설치되는 곳은 12곳이다.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가 시행중인 양산수관교 정비공사현장에 지난달 30일 처음 설치됐다. 나머지 11곳은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가 시행중인 낙동강 횡단수관교 비상관로 설치공사현장, 부산시가 시행중인 부전천 생태하천 복원사업현장, 부산시 건설본부가 시행중인 삼한맨션~과정교차로 도로건설현장, 동김해교차로~식만분기점 광역도로 건설현장, 당감동 택지지구 등 노후관로 정비공사현장, 부산오페라하우스 건립공사현장이다. 또 부산도시공사가 시행중인 부산 에코델타시티 1단계 4공구 조경공사현장과 기장군 오시리아 테마파크 기반조성공사현장, 부산교통공사가 시행중인 정거장 8차 시설개량공사현장, 도시철도 양산선(노포~북정) 4공구 건설공사현장, 도시철도 양산선(노포~북정) 2공구 건설공사현장이다.
부산시는 지난 4월 건설근로자공제회와 단말기 무상지원 등을 뼈대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12곳의 사업장에 시범 설치해서 성과가 좋으면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