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회 제주4·3평화포럼이 13~14일 이틀 동안 제주시 제주칼호텔에서 열린다.
제주4·3평화재단과 연세대 인간평화와 치유연구센터가 주최하는 이번 포럼 주제는 ‘제주4·3과 미국: 인권, 책임, 그리고 평화’다. 첫날인 13일 오후 5시30분부터 제주4·3의 비극을 그린 작품 <순이삼촌>을 쓴 소설가 현기영씨가 ‘4·3과 미국’을 주제로 기조 강연하며, 오후 6시30분부터 개회식이 열린다. 둘째 날(14일)은 두 개의 세션으로 나눠 진행한다.
제1세션은 오전 9시30분부터 ‘제주4·3, 미국의 도덕적·법률적·정치적 책임’을 주제로 호프 메이 미국 센트럴미시간대학교 교수가 ‘미국과 유엔, 그리고 제주4·3사건: 책임의 이야기’를 발표하고, 백태웅 하와이대 교수가 ‘국제인권법과 제주4·3’, 박명림 연세대 교수가 ‘정의화 화해, 인간평화, 그리고 과거 극복의 완전성: 제주4·3 사례의 보편화와 미래화를 향해’를 주제 발표한다.
제2세션은 오후 2시부터 ‘국내외 과거사 청산과 미국과의 대변: 대화 극복사례’를 주제로 고창훈 제주대 명예교수가 ‘관용성을 통한 제주4·3 대비극의 사회적 치유’를, 김양래 전 5·18기념재단 상임이사가 ‘5·18 민중항쟁과 미국’을 주제 발표한다. 미국 퓰리처상 수상자인 찰스 헨리가 ‘노근리 사건의 사례’,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1960년대 동남아시아에서의 학살, 그리고 제주’를 주제 발표한다.
제주4·3평화재단 쪽은 “4·3과 관련해 미국의 역할과 책임 문제를 공론화하자는 취지로 열리는 이번 제8회 제주4·3평화포럼을 계기로 진실과 화해, 평화로 나가는 4·3 진상규명의 또 다른 전개를 펼쳐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