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시민단체와 주민들이 4일 제주 제2공항 건설에 반대하며 제주도청 현관 앞에서 농성을 벌이고 있다.
국토교통부가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들어갔다. 건설 예정지역 주민들과 시민사회단체들은 제주도청 앞에서 농성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국토부는 지난해 7월 제주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용역을 추진하면서 중단됐던 ‘제주 제2공항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지난달 28일 발주했다고 4일 밝혔다. 용역업체인 포스코건설 컨소시엄은 앞으로 6개월 동안 제2공항 개발지역 범위와 시설 배치, 운영계획, 재원조달 방안 등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된다. 국토부는 이달 말께 세종시 등에서 기본계획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 계획이며, 제주도 등과 협의해 제주지역 착수보고회 개최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2공항을 반대하는 주민들과 협의가 이뤄지지 않아, 국토부의 이런 방침에 지역주민과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질 전망이다. 이미 2017년 제2공항 건설 반대를 주장하며 40여일 넘도록 단식투쟁을 했던 난산리 주민 김경배씨가 제주도청 앞에 텐트를 치고 이날로 17일째 단식투쟁을 벌이고 있다.
제주도청 현관 앞에서는 지난 3일 오후부터 반대 주민들이 제2공항 건설 반대와 원희룡 지사 면담 등을 요구하며 연좌농성에 들어갔다. 제2공항 반대대책위원회 등은 입지선정과정의 의혹이 해소되지 않은 채 검토위원회의 활동 기간 연장 요청이 무산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오는 7일 오전 제주도의회 도민의 방에서 국토부의 기본계획 용역 강행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열 계획이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해 7월2일 ‘제주 제2공항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당시 국토부는 반대위쪽과 입지선정 타당성 재조사와 이를 검증할 검토위원회 구성을 합의함에 따라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미뤘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입지선정 사전 타당성’ 재조사를 3개월 동안 진행했다. 이어 지난해 9월부터 반대위 추천 7명과 국토부 추천 7명 등 모두 14명으로 검토위원회를 구성해 재조사를 검증하는 활동을 벌였다.
그러나 반대위쪽이 검토위 활동 연장을 요구한 반면, 국토부 쪽은 이를 반대해 권고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활동을 끝냈다.
한편 정부는 4조8700억원을 들여 서귀포시 성산읍 난산·온평리 등 일대 496만㎡에 연간 2500만여명의 항공수요 처리를 위한 제주 제2공항을 건설할 계획이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