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북구의회, 사상구의회, 경남 김해시의회, 거제시의회 의장과 의원들이 14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김해신공항 반대 의견을 밝히고 있다. 부산시 제공
김해신공항과 이웃한 부산·경남의 4개 기초단체 의회가 처음으로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김해신공항을 공식 반대하고 국토교통부가 김해신공항을 포기하지 않으면 공동 투쟁을 하겠다고 밝혀 국토교통부와 충돌이 우려된다.
장인수 부산 사상구의회 의장, 정기수 부산 북구의회 의장, 김형수 경남 김해시의회 의장, 옥영문 경남 거제시의회 의장 등 4개 기초단체 의회 의원들은 14일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동남권 관문공항은 국토의 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시대에 부응하는 필수적인 조건이다. 국토교통부가 김해신공항 건설을 즉각 중단하지 않으면 후손에게 물려줄 100년 대계의 제대로 된 신공항 건설을 위해 모든 방법을 다하고 공동 투쟁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의회는 “현재 김해공항은 이미 1년 사용자가 1000만명을 넘었고 머지않아 포화 상태가 예상된다. 국토부가 추진하는 김해신공항은 부산·경남시민들을 얕보고 눈에 뻔히 보이는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2015년 1월 부산·울산·경남·대구·경북 등 5개 시·도가 국토부의 신공항 위치 선정에 승복할 것을 약속하면서 연간 3800만명이 이용하는 신공항을 만들기로 했으나 국토부가 900여만명을 축소해서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해신공항 계획도. 기존 활주로 2개 옆에 브이자 모양으로 새 활주로 1개가 들어선다. 부산시 제공
4개 의회는 김해신공항의 안정성을 우려했다. 이들 의회는 “2002년 김해시 돗대산에 중국 민항기가 추락하는 참사가 있었다. 현재 김해시 60만명, 부산 강서·북·사상구 70만명 등 130만명이 사는 곳에 항공기가 추락할 때 일어날 대참사는 상상하기에도 끔찍하다”고 주장했다.
소음 피해도 지적했다. 김해신공항에 현 활주로 2개 옆에 브이자 모양의 활주로가 1개 추가되면 김해공항을 함께 사용하는 군항공기의 훈련비행 구역이 활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변경돼 부산 북구와 사상구의 주민들이 소음 피해를 본다는 것이다. 또 국토부 사전타당성 용역보고서 등은 김해신공항이 개항하면 김해시의 700여가구가 소음 피해를 본다고 예상했지만 실제로는 김해시의 3만4000여가구 8만6000여명이 소음 구역에 포함된다고 주장했다.
4개 의회는 김해신공항의 대체 후보지를 처음으로 밝혔다. 이들 의회는 “24시간 운행하며 안전하고 소음 피해 없이 확장성 있는 국제공항은 인천공항을 서해의 영종도에 건설했듯이 물류 흐름의 중심에 위치하면서도 소음과 위험성에도 자유로운 부산항 근처 바다에 위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실상 부산시가 주장하고 있는 가덕도를 뜻한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