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간선도로 위 공공주택 예상도.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지난해 말 발표한 공공주택 8만채 추가 공급 계획을 본격적으로 실행한다. 2025년까지 약 8조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26일 발표한 ‘주택공급 5대혁신 방안’과 ’공공주택 8만채 추가 공급 계획’을 실현하기 위한 세부 전략을 수립했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진희선 서울시 행정2부시장을 단장으로 하는 ‘주택공급혁신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공공주택 8만채를 추가 공급하는데 들어가는 예산은 2025년까지 모두 7조9872억원(국비 1조8451억원, 시비 3조2917억원, 서울주택도시공사 등 기타 2조8504억원)이다. 올해 예산은 8327억원이며, 사전절차 비용 181억원 등 추가로 필요한 예산 2353억원은 올 상반기 중 추경을 통해 확보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우선 동부도로사업소, 도봉구 창동 부지처럼 토지수용이 필요하거나 북부간선도로 등 주거지역 전환이 필요한 곳을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할 예정이다. 공공주택지구로 지정되면 사업추진 절차가 대폭 간소화된다. 연희동 유휴부지와 증산동 빗물펌프장은 먼저 공공주택지구로 지정해 24일 고시했다. 시가 추진 중인 ‘도로 위 주택’ 북부간선도로 입체화 사업은 12월 지구 지정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한 별도 지구 지정이 필요 없는 16개 소규모 부지는 주택 설계가 완성되는 대로 내년부터 순차적으로 착공할 방침이다.
민간 등에서 추진하는 도시개발사업으로 진행되는 도봉 성대야구장, 광운 역세권 등은 사전 협상을 통해 공공주택 공공기여를 확보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022년까지 공공주택 24만채를 공급하겠다는 기존 공약 외에 지난해 12월26일 추가로 8만채의 공공주택을 짓겠다고 발표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