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종 충북지사(왼쪽)와 김병우 충북교육감(오른쪽)이 지난달 10일 충북도청에서 무상급식 합의서에 서명하고 있다. 충북도 제공
충북도와 충북교육청이 지난달 무상급식 예산 분담에 합의하는 과정에서 ‘지역 명문고’ 육성을 위해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지만, 명문고에 대한 두 기관의 생각이 달라 출발부터 난항이 예상된다.
충북도와 충북교육청은 다음달 7일 ‘지역 미래 인재 육성 태스크포스(티에프) 회의’를 한다고 30일 밝혔다. 이 회의는 지난해 12월10일 도와 교육청이 맺은 무상급식 합의에 따라 이뤄졌다. 당시 두 기관은 무상급식 예산 분담에 합의한 뒤 ‘지역의 미래 인재 육성을 위해 공동 노력한다. 충북교육청은 자율학교 지정, 명문고 육성을 포함한 다양한 미래형 학교 모델을 창출한다’고 별도 합의조항을 넣었다.
애초 명문고 육성은 이시종 충북지사가 먼저 꺼냈다. 이 지사는 지난해 11월 2019년도 예산안 제출 때 한 시정연설에서 “최근 충북의 인재가 걱정된다. 중앙 요직에 충북 출신 찾아보기 쉽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세종시 인구 유출 대책의 하나로 오송에 명문고 설립을 제안하기도 했다.
하지만 교육청은 이름부터 명문고가 아니라 ‘미래 인재학교’로 부른다. 김병우 충북교육감은 지난해 12월6일 기자간담회에서 “고위 공무원단에 충북 출신이 없어 예산 유치에 애로가 많다는 얘기를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지금은 모든 학생이 각자 특성을 살리는 수월성 교육을 하는 시대”라고 맞받았다.
충북도는 지난달 농어촌 자율고인 충남 공주대 사대부고, 한일고 등을 찾아 학교 운영·학생 배치 등을 살폈다. 도 관계자는 “충북형 명문고 모델을 찾고있다. 이 지사가 하이닉스 등 충북에 있는 대기업에 명문고 육성을 위한 제안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새 학교 설립보다 미래 인재학교 지정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새 학교 설립은 학생 배치, 재정, 교원 수급 등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교육과정 특성화 고교 등 지역 실정에 맞는 다양한 모델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