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전기종·전현철 선생의 하숙집으로 추정되는 건물.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제공
서울시가 재개발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을지면옥 등 청계천·을지로 일대 오래된 가게와 공구상 거리를 보존하기로 한 데 이어, 이 지역의 독립운동가 집도 보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철거가 진행 중인 중구 세운상가 일대 세운재정비촉진지구의 일부 사업도 추가로 중단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시 관계자는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보존연대)의 민원에 따라,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안 독립운동가의 집터로 추정되는 건물들에 대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30일 말했다. 서울시는 서울기록원 등과 협의해 독립운동가 집으로 추정되는 건물에 대한 조사와 기록를 진행하고, 올해 말까지 보존·활용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진행 중인 세운3구역 철거를 중단해 줄 것을 중구청에 요청했다. 시는 세운3구역의 독립운동가 집터로 추정되는 곳이 10여곳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독립운동가 전기종·전현철 선생의 하숙집으로 추정되는 건물이 지난 29일 밤 철거됐다.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제공
앞서 서울시는 을지면옥 등이 포함된 세운3-2·6·7구역에 대해 종합대책을 마련할 때까지 재개발 사업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3구역의 독립운동가의 집도 보존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나서면서, 한편에선 세운상가 일대 재개발이 올해 말까지 사실상 중단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보존연대가 밝힌 세운재정비촉진지구 안 독립운동가의 집터는 20여곳으로, 현재 남아있는 집은 10곳이다. 지난 29일까지만 해도 독립운동가가 살았던 집이 11곳이었으나, 이날 밤 세운 3-1구역에 있는 독립운동가 전기종·전현철 선생의 하숙집이 철거됐다고 보존연대는 설명했다. 이 단체는 “철거가 이뤄진 29일은 서울기록원에서 해당 지역의 기록 보존을 위해 현장 답사를 한 날이다. 그런데도 같은 날 밤 시행사가 무리하게 철거를 강행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서울시의 요청에 중구청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 중구청 관계자는 “최근 (을지로 일대 재개발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아 민간 사업자가 ‘숨 고르기’를 하고 있어 상황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면서도 “행정기관이 철거를 진행하는 민간 사업자를 강제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30일 경실련,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등이 주최한 ‘세운상가 일대 산업생태계와 역사문화 어떻게 보존할 것인가’ 토론회 채윤태 기자
한편, 청계천·을지로 일대 재개발에 대해 서울시가 전면 재검토에 들어가면서 오래된 가게와 공구상 거리에 대한 보존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도시개혁센터, 도시연대, 보존연대 등은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토론회를 열어 세운상가 일대의 산업생태계와 역사문화를 보전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배웅규 중앙대 교수(도시공학과)는 이 자리에서 “역사문화 보전을 위해 존치지역을 확대하고 도시환경관리 사업을 도입해 지역 특성을 보존하고 관리해야 한다”며 “경제·사회·산업적 활성화가 된 곳은 존치지역으로 지정하고, 건물 단위가 아닌 세분화된 면적 단위로 관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박은선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 활동가는 “재개발이 진행되면서 400여 업체가 사라지니 남아있는 상인들의 매출이 50∼70% 줄었다”며 제조업체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지역 특성을 고려한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