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4월3일 열리는 국회의원 보궐선거가 경남만의 잔치가 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국회의원 보궐선거 선거일 60일 전인 1일을 기준으로 실시 사유가 확정된 지역구는 창원시 성산구와 통영시·고성군 등 경남 2곳 뿐이기 때문이다.
■ 창원시 성산구
노회찬 전 정의당 원내대표의 별세로 보궐선거를 치르게 된 창원시 성산구는 ‘경남 진보 1번지’로 불린다. 진보 진영 후보 단일화에 성공했던 17대, 18대, 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모두 진보 후보의 당선을 이뤄낸 지역구이기 때문이다. 이번 보궐선거에서도 진보 정당의 지키기와 자유한국당의 되찾기 싸움이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키(방향조정장치)를 쥔 더불어민주당이 어떤 태도를 보일지가 관심을 끌고 있다.
1일 현재 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한 예비후보는 민주당 2명, 한국당 1명, 바른미래당 1명, 정의당 1명, 민중당 1명 등 6명이다. 이 가운데 정의당과 민중당은 각각 여영국 전 경남도 의원과 손석형 전 경남도의원을 후보로 확정한 상태다. 민주노총 경남본부와 진보성향 시민사회단체로 이뤄진 경남진보원탁회의는 정의당과 민중당 후보를 대상으로 진보 진영 후보 단일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단일화 방식으로 정의당은 성산구 주민 여론조사, 민중당은 창원 전체 민주노총 조합원 총투표를 주장하고 있어 후보 단일화 성사 여부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민주당은 이달 중 후보를 결정할 방침인데, 진보 정당과의 정책 연대를 위해 후보를 내지 않을 수 있다는 말도 나오고 있다. 한국당은 오는 27일 전당대회를 앞두고 있어, 후보 결정은 다음달 초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 통영시·고성군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이군현 자유한국당 의원에게 지난해 12월27일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형이 확정됨에 따라 통영시·고성군 지역구에서도 보궐선거가 열릴 예정이다. 통영시·고성군은 전통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이었지만, 지난 지방선거에서 2곳 모두 민주당 후보가 지방자치단체장으로 당선되면서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 고성군은 민주당 소속인 김경수 경남지사의 고향이기도 하다.
1일 현재 민주당 5명, 한국당 3명, 대한애국당 1명, 무소속 1명 등 이미 10명이 출사표를 던졌다. 여기에 정의당과 민중당도 후보를 낼 것이라고 예고한 상황이라, 선거전은 더욱 뜨거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정당들마다 통영시·고성군 선거를 창원시 성산구 선거와 연동해서 운영하겠다는 뜻을 숨기지 않고 있어, 본선거는 의외로 단출한 구도로 치러질 가능성도 있다. 정당들이 통영시·고성군과 창원시 성산구 등 두 선거구 중에서 유리한 지역구에 집중하면서, 다른 지역구를 우호적인 정당에 양보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른바 ‘드루킹 사건’과 관련해 지난달 30일 1심 재판에서 징역 2년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된 김경수 지사에 대한 지역 여론이 어떻게 형성되느냐도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