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교육청과 시민단체가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아 학교 안 친일 잔재 청산에 발 벗고 나섰다.
부산교육희망네트워크는 4일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아 민족교육의 터전인 학교에 여전히 남아있는 일제의 흔적을 지우기 위해 회원들이 티에프팀을 만들어 학교 안 친일잔재 청산운동을 연중 전개한다”고 밝혔다.
티에프팀은 교명, 교가, 교기, 교목, 기념비 등 학교 안 교육시설과 친일문화를 모두 조사해서 일제 잔재가 발견되면 폐기할 것을 교육청과 학교 쪽에 촉구하고 항일 독립운동과 관련한 흔적이 있는 학교에는 역사적 사실을 알리는 표지판 설치를 요구한다.
이어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된 4월11일과 나라의 국권을 강제로 빼앗겨 일제의 식민 통치가 시작됐던 8월29일(경술국치일)에 학교마다 조기를 게양하고 계기 교육을 벌일 것을 교육청과 학교에 촉구한다.
부산시교육청도 친일 잔재 청산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친다.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교 속 일제 잔재 청산지원팀’을 만들어 학교의 친일잔재 청산작업에 필요한 자료와 연구를 지원한다. 학생, 교사, 학부모, 시민들이 학교 속 일제 잔재 청산을 위한 자료수집과 공론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청 누리집에 ‘학교 속 일제 잔재 청산 참여마당’을 마련한다.
유치원과 초·중·고등학교별 교사로 꾸려진 4개의 ‘일제 잔재 청산 교사연구회’를 운영한다. 이 연구회는 일제 잔재 청산대상을 찾아내서 일제강점기 문헌 조사와 고증을 통해 청산작업 활동을 한다. 각 학교는 교사·학부모 다모임과 학생자치회 등 학교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토론과정 등을 통해 교가와 교목 등 학교 속 일제 잔재를 찾아 청산하는 활동을 한다.
부산시교육청 관계자는 “3·1운동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돌을 맞아 여느 때 보다 적극적인 일제 잔재 청산운동을 펼칠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 학생들이 역사를 바로 알고 독립에 대한 숭고한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