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네트워크는 7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낙동강의 8개 보와 영주댐 철거를 정부에 촉구했다.
낙동강권역 환경단체들이 4대강 사업으로 건설된 낙동강의 8개 보는 물론 낙동강 최상류의 영주댐까지 철거하라고 정부에 요구하고 나섰다.
부산·대구·경남·경북 등 낙동강권역 환경단체들의 모임인 낙동강 네트워크는 7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죽음의 늪으로 변하고 있는 영남의 젖줄 낙동강을 되살리기 위해서는 8개 보와 영주댐을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낙동강은 1300만 영남주민의 생활용수, 농업용수,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공동우물이다. 그런데 4대강 사업으로 2012년 낙동강에 8개 보가 건설되면서 낙동강의 생태계와 먹이사슬은 완전히 깨졌다. 죽음의 늪으로 변해가는 낙동강을 본다면 그 누구도 보 철거를 반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들은 “낙동강의 자연성을 회복하려면 낙동강 최상류에 건설한 영주댐 철거도 필요하다. 영주댐과 보 해체 여부를 결정할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영남주민의 참여가 보장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부산지역 환경단체인 생명그물의 이준경 대표는 “일부에서는 보 수문을 완전히 여는 것만으로도 낙동강 생태계를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낙동강 8개 보의 수문은 50~70%가 아예 열지 못하도록 고정돼 있다. 따라서 보를 철거하지 않고 수문만 열면 생태계 회복에 한계가 있으며, 계속해서 유지비용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경북 고령군 우곡면 포2리 이장인 곽상수씨는 “보 철거에 대한 농민들 의견은 찬반으로 나뉜다. 정부가 농민들에게 문제점을 정확히 설명하지 않아, 옛 이명박 정부의 홍보논리가 아직도 먹혀들고 있다.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설명과 설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물관리위원회는 오는 12월 낙동강과 한강의 보 처리방안을 결정할 예정이다.
글·사진 최상원 기자
csw@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