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새 제주지역 숙박업체가 2배 이상 증가하면서 과당경쟁 양상을 빚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공유숙박’ 확대 정책이 현실화하면 가뜩이나 포화상태인 제주 숙박업계에도 타격이 불가피해 보인다.
한국은행 제주본부가 최근 발간한 ‘제주지역 숙박업 리스크 요인 점검’ 보고서를 보면, 제주 숙박업체는 관광산업 호조가 이어진 2013년 이후 급증하기 시작해 지난해 말까지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숙박시설 규모는 2013년 2292곳에 객실 수 3만6335실에서 지난해 5182곳 7만1822실로 크게 늘었다. 최근 5년 사이 업체 수는 두 배 이상, 객실 수도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숙박 수요는 2015년 관광객 증가세의 둔화와 평균 체류일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정체되기 시작했다. 지난해의 경우 하루 평균 도내 체류 관광객 수는 17만6천여명, 필요 객실 수는 4만6천실 정도다. 2만6천여실이 과잉공급되고 있다는 얘기다. 한국은행은 “일부 대형 사업장을 중심으로 등록되지 않은 잔여 숙박업체 승인 물량이 상당 수준 남아 있어 앞으로도 객실 공급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숙박업 운영이 부진하고 대출금리 상승이 지속되면 지역 금융 안정에 부담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제주연구원이 13일 발표한 ‘공유숙박 확대 허용에 따른 제주지역에의 영향 전망 및 대응 과제’ 연구보고서를 봐도 도내 관광호텔 객실 이용률은 특1급 호텔의 경우 2012년 82.0%에서 2017년 64.3%로, 1등급 호텔은 같은 기간 81.7%에서 54.6%로, 3등급 호텔도 66.6%에서 52.6%로 떨어졌다. 제주연구원은 “공급과잉으로 객실 이용률이 낮은 상황에서 신규 숙박시설 건설이나 공유숙박까지 확대 허용하면 숙박업체 간 과당경쟁이 불가피하고, 지역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허호준 기자
hojo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