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중풍 등 노인성 질환을 앓는 노인이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집 가까운 곳에서 필요한 시간대에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데이케어센터가 서울에 대폭 확대된다.
서울시는 ‘고령친화도시 서울’을 구현하기 위해 올해 154억1천만원을 들여 데이케어센터를 확충하고 돌봄서비스의 질을 높이겠다고 17일 밝혔다. 시는 예산 154억1천만원 가운데 33억7천만원을 들여 자치구나 법인이 공공건물이나 사회복지시설에 데이케어센터를 설치할 때 최대 10억원까지 지원할 방침이다. 노인은 가족과 함께 살 수 있고 가족들은 부양 부담을 덜 수 있게 하자는 게 서울시의 목표다.
데이케어센터는 요양보호사가 노인을 보호하며 목욕?식사?간호?치매 관리·응급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에 31곳 데이케어센터가 시 지원으로 세워졌다. 시는 “2007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이 시행된 이후 영세한 시설들이 난립해 휴업과 폐업을 반복하고 고객을 대상으로 불법, 부당 행위를 하는 경우가 많아 공공성을 높인 요양서비스를 제공할 데이케어센터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서울시의 총 391곳 데이케어센터 중 192곳(49%)이 서울형 데이케어센터로 운영 중이다. 서울형 데이케이센터로 인증을 받으면 한 해 평균 6천만원의 운영비를 지원받는다. 시는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케어센터를 ‘서울형 데이케어센터’로 인증하고 운영비, 환경 개선비, 대체인력 인건비 등으로 올해 120억 4천만원을 쓸 예정이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