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최근 ‘인간과 자연이 조화로운 도시’의 위상을 세계에 알린다는 취지로 국제영화제를 추진하고 나섰지만, 성공 가능성을 놓고 논란이 인다.
울산시는 지역 영상산업 발전과 관광기반 확대를 위해 오는 8월까지 5개월간 70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가칭)울산국제영화제 타당성 검토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시행한다고 9일 밝혔다. 용역은 사단법인 부산국제영화제가 맡았다.
울산시의 국제영화제 추진은 지난해 6·13지방선거 때 송철호 시장이 내건 ‘국제환경영화제 개최’ 공약에서 비롯됐다. 이를 위해 시는 올해 1억5700만원의 예산을 책정하고, 국제영화제 담당계도 신설했다.
연구용역은 국제영화제 추진 타당성과 필요성 검토에서부터 영화제 기본구상과 개최 방안 도출, 영화제 개최 효과 분석, 향후 발전방안 모색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뤄진다. 국내외 국제영화제 현황 조사와 여건 분석, 독립적인 추진조직 구성과 관계기관과의 협력 방안 등에 대한 연구도 포함됐다.
시는 또 이달 중순 연구용역 착수 보고회에 이어 전문가 회의, 시민 설명회, 설문조사 등을 통해 각계각층의 다양한 의견을 연구용역에 반영할 방침이다. 용역 결과가 나오면 이를 바탕으로 올 하반기 국제영화제 세부 추진계획을 세우고, 독립추진기구인 조직위원회와 사무국 구성, 법인 설립 등을 거쳐 내년 하반기 영화제를 개최하는 것이 목표다.
하지만 지난해 9월 울산시의 국제환경영화제 개최와 관련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기존 울주군의 세계산악영화제와 중복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미 10년 이상 이어져 온 서울환경영화제나 창원환경영화제 등 다른 도시 영화제와의 차별성이나 상대적 우위를 기대하기도 힘들고, 축제·행사 예산을 줄이는 추세에 굳이 중복 우려가 큰 영화제가 필요하느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고재식 울산시 국제영화제담당은 “국제영화제는 울산의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시민의 문화향유 기회를 넓혀가기 위한 취지”라며 “용역이 끝나기 전까진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이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