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새 아파트 공사가 한창인 청주 동남지구. 2015년 이후 해마다 5000여 세대의 아파트가 쏟아지면서 청주지역 미분양 아파트가 속출하고 있다. 오윤주 기자
새 아파트 건설 급증 등으로 주택 공급 과잉 논란을 산 충북 청주시가 아파트 공급 시기 조절에 나섰다. 청주는 2015년 이후 해마다 연평균 5000여채의 새 아파트가 쏟아지고 있다.
청주시는 주택 수요·공급 기본 계획에 견줘 지금 5000호 정도 주택이 많이 공급돼 올해부터 새 아파트 분양을 자제하는 등 공급 시기 조절을 한다고 15일 밝혔다. 지난해 말 기준 청주시의 주택보급률은 118.2%로 전국 최고 수준이다. 국토교통부의 주택보급률 자료(2017년 기준)를 보면, 전국 평균 주택보급률은 103.3%이며, 서울(96.3%)·경기(99.5%) 등 수도권은 100%를 밑돌았다.
하지만 청주시는 새 아파트 건설 등을 중심으로 주택 공급이 크게 늘었다. 2015년 7단지 6300채, 2016년 11단지 5736채, 2017년 11단지 7140채, 2018년 5단지 4115채 등 최근 4년 평균 해마다 5822채 공동 주택이 쏟아졌다.
과잉 공급에 따른 미분양도 속출하고 있다. 청주는 2016년 10월 미분양 관리 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지금까지 전국 최장수 미분양 관리 지역이다. 지난달 말까지 1768채가 미분양됐다. 특히 청주 동남지구의 한 아파트는 1016채 모집에 430채(42.3%)가 미분양됐으며, 다른 아파트는 1407채 모집에 381채(27%)가 미분양 상태다.
15일 청주 시가지. 시 외곽은 물론 시내 중심가까지 아파트가 들어섰다. 오윤주 기자
앞으로가 더 문제다. 올해부터 2021년까지 청주 전역에 21단지 1만7915채의 아파트가 더 들어서기 때문이다. 게다가 아파트 건설업체 4곳은 2022년 5969채 분양을 목표로 실시 계획, 구역 지정 협의 중이다.
시민단체 등은 청주시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한다. 이병관 충북·청주경실련 정책국장은 “청주시가 거대한 아파트 난개발 현장이 되고 있다. 시가 일몰제 대상 공원 용지를 매입하는 등 적극적으로 아파트 공급 조절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근복 청주시 공동주택과장은 “올해부터 아파트 공급 시기를 조절해 미분양 등 문제 해결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