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버스 노사가 15일 파업을 불과 2시간 앞두고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타결, 서정수 노조위원장(왼쪽부터), 박원순 서울시장, 피정권 운송사업조합 이사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원순 서울시장이 서울버스 노사가 임금협상을 타결지은 데 대해 “요금 인상 없이 적절한 (임금) 인상을 통해 파업은 막았다”고 자평했다.
박 시장은 15일 오전 <시비에스>(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 한 전화 인터뷰에서 “서울시는 주 52시간제에 대해서도 대비를 해왔다”며 “(요금 인상은) 시민들의 주머니 입장에서 보면 (부담이) 큰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경기도는 버스 요금을 인상해 주 52시간제 시행에 따른 인력 충원과 임금 보전 문제 등을 해결하라는 정부의 요구에 대해 수도권 환승할인제가 적용되는 서울과 함께 요금을 올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경기도는 지난 14일 정부안을 받아들여 시내버스와 직행좌석버스의 요금을 각각 200원, 400원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도가 요금인상에 합의한 것과 별개로 주 52시간제 도입에 따른 임금 보전 문제 등에 대한 노사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임금협상을 보름 동안 연장하기로 했다.
이와 달리 서울시 버스 노사는 같은 날 요금 인상 없이 임금 3.6% 인상·정년 2년 연장 등에 합의했다. 박 시장은 “그만큼 일상적으로 버스와 지하철 타고 다니는, 지하철만 해도 하루에 700만 이상이 이용하는데 그러면 그분들의 주머니에서 돈이 나가는 게 되는 것”이라며 “그렇게 되면 당장 다시 과거처럼 돌리라고 여론이 형성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당분간 버스 요금 인상은 없는가’란 물음에 “없다”고 선을 그었다.
박 시장은 공영제에 대한 견해도 밝혔다. 그는 “‘준공영제를 공영제로 왜 하지 않냐?’는 주장도 있는데 저도 고민해봤다. 이렇게(공영제)로 하는 나라도 있는데, 예컨데 뉴욕의 경우는 서비스의 질이 형편없다”며 “예산도 엄청 든다. 차고지 다 매입을 해야하고, 버스 등을 다 매입해야 되지 않은가? 그래서 지금 준공영제가 그나마 가장 합리적인 제도”라고 말했다.
박 시장은 대한애국당이 광화문광장에 기습적으로 농성천막을 설치한 것에 대해 철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완전히 불법 집단이다. 지금 서울시의 조례에 따르면 광화문에서는 기본적으로 정치적인 목적의 행사를 하거나 텐트를 치는 것은 불법”이라며 “그야말로 불법 점거이기 때문에 행정대집행을 해서 철거하는 수밖에 없다”고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4년8개월 동안 광화문에 설치됐던 세월호 천막에 대해서는 “박근혜 정부 아래서 정부의 합의에 따라서 범정부적으로 허용한 천막”이라며 “나중에 (유족들이) 천막을 우리의 허락 없이 추가하는 바람에 과태료가 나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좌파가 돈 벌어본 적이 있느냐. 돈 한번 제대로 벌어본 적 없다’는 등 ‘색깔론’ 발언을 한 데 대해 “좌파, 우파 지금 이렇게 싸움을 거는 것조차도 해방 직후에 있었던 그런 시대나 있었던 일”이라고 비판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