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중구 주민자치위원연합회는 지난 27일 대구시청 앞에서 신청사 현위치 건립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대구 중구 제공
대구시가 신청사 건립을 추진하는 가운데 신청사 유치에 뛰어든 자치구 등 지방정부의 갈등이 깊어지고 있다.
이태훈 달서구청장, 류규하 중구청장, 김문오 달성군수는 28일 대구 두류동 이월드 83타워에서 비공개 간담회를 열어, 대구시 신청사 건립 문제를 논의했다. 신청사 유치를 희망하는 지방정부 가운데 북구청장만 간담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지역에서는 대구시가 북구를 신청사 예정지로 염두에 두고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지방정부는 저마다 대구시 신청사 설립 적합지로 자신들의 지역을 꼽고 있다. 달서구는 지난 27일 두류3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시청사 유치 타당성조사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연구용역 기관인 지역개발연구원은 이 자리에서 “신청사 4개 후보지를 평가한 결과, 달서구의 옛 두류정수장 부지가 최적지로 입증됐다”고 발표했다. 앞서 신청사 유치를 희망하는 중구·북구·달성군도 신청사 유치 타당성조사 연구용역을 했는데, 모두 자신들이 최적지라는 연구용역 결과를 내놨다. 대구 중구는 현 위치, 북구는 경북도청이 있던 곳, 달서구는 옛 두류정수장 터, 달성군은 지하철 1호선 설화명곡역 터에 지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구시는 지난달 5일 ‘신청사 건립추진공론화위원회’(위원장 김태일 영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출범시켰다. 공론화위는 지난달 25일 대구시청에서 ‘신청사 건립 성공 추진을 위한 협약식’을 열었지만, 류규하 중구청장과 오상석 중구의회 의장은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공론화위는 이날 신청사 유치 과열 행위에 벌점을 주겠다고 경고했다.
이에 대구시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조광현 대구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대구시는 신청사를 건립할 입지에 대해 자유롭고 합리적인 토론도 못하게 하면서, 공론화를 거쳐 신청사 입지를 결정하겠다는 모순된 태도로 불필요한 지역 갈등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대구시청 본관과 대구시의회 건물은 1만2594㎡ 터에 각각 1993년과 1956년 지어졌다. 대구시는 공론화위와 시민참여단을 통해 예정지를 확정하고, 2025년 신청사를 완공할 계획이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