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성남시가 시세 8천억원을 웃도는 판교구청 예정 터 매각에 나선다. 구청 터로는 지나치게 넓은 데다 판교구청 신설이 현재로썬 어려워 해당 터에 첨단기업을 유치하고 매각 대금으로 공공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성남시는 시유지인 분당구 삼평동 641 일반업무시설용지 2만5719.9㎡를 매각하기 위한 공유재산 관리계획변경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터는 판교구청을 짓기 위해 시가 2008년 7월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578억원에 산 땅으로 현재는 임시공영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다. 해당 터의 공시지가는 2863억원인데 지난 1월 인근 일반업무시설용지가 3.3㎡당 1억800만원에 거래된 점에 비춰 시세는 8천억원을 넘을 것으로 시는 예상한다.
시는 공유재산 관리계획변경안이 6월 시의회 정례회에서 승인되면 감정평가와 공모 등 절차를 거쳐 12월까지 매각한다는 계획이다. 이 터는 판교제1테크노밸리 내에 있는 만큼 첨단기업 등으로 매수 응모자격에 제한을 둘 방침이다.
시는 이 터를 판 돈으로 교육청이 건립을 포기한 삼평동 이황초등교·판교동 특목고·백현동 일반고 등 3개 학교용지를 토지주택공사로부터 사들여 이황초등교 터를 판교구청 대체 터로 남겨두고, 나머지 2개 터는 주민 의견을 수렴해 공공시설로 사용할 예정이다. 이들 터는 1379억3700만원의 조성원가로 살 예정이다.
또 판교 트램 건설(2146억원), 판교지역 13개 공용주차장 건립(1875억원), 판교 이(e)스포츠 전용 경기장 건립(150억원) 등에도 쓸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판교구청 예정 터를 팔아 첨단기업·고급인력을 유치해,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판교의 위상을 높이고 건전재정 운영에도 나서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