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 시내 1㎞ 구간에 일본 경제침략에 항의하는 펼침막이 내걸렸다. 민중당 전북도당 제공
광복절을 앞두고 친일 잔재 청산운동이 뜨거워지는 가운데, 전북에선 ‘노(NO) 아베 거리’가 조성되고 충남에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추모하는 기림의 날 행사 등이 열리는 등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항일 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민중당 전북도당은 시민과 함께 전북 익산 시내에 ‘노 아베’ 거리를 만들었다고 13일 밝혔다. 약 1㎞ 구간(전자랜드 사거리~홈플러스 사거리)에 시민들이 자신의 이름으로 아베를 반대하는 내용으로 작은 펼침막을 만들어 거리에 내건 것이다.‘노 아베! 토착왜구 아웃(OUT)’ ‘노 아베! 노 한일군사협정’ ‘가지도 사지도 맙시다’ ‘1919년에는 졌지만 2019년에는 이깁시다’ 등의 문구에다 아래에는 자신의 소속·이름을 넣어 제작했다. 손진영 민중당 전북도당 총무국장은 “일본의 경제침략에 맞서 저항하는 목소리에 공감하는 시민들이 많아 앞으로 더 좋은 방법을 위해 시민과 지혜를 모으겠다”고 했다.
충남도는 이날 오전 충남 천안시 국립 망향의동산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추모하는 기림의 날 행사를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양승조 지사와 나소열 정무부지사를 비롯해 충남도 국·실장과 산하 기관장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기림의 날은 1991년 8월14일 고 김학순 할머니가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군 위안부 피해 사실을 처음으로 증언한 날을 기려 2012년 제11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지정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기림의 날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고 1회 기림의 날 추모행사를 국립 망향의동산에서 열었다. 올해 행사는 14일 오전 11시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는 240명 가운데 220명이 숨져 생존자는 20명이다.
광주에선 일제 침략에 맞서 의병장들과 연대하며 독립을 위해 저항했던 ‘재가 의병장’ 신동욱(1870~1942) 선생의 항일 행적을 알리는 사적비가 14일 세워진다.
이러한 상황에서 경기 고양시는 7년간 진행해온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행사를 예산 부족 등의 이유로 열지 않기로 해 시민사회가 반발하고 있다. 장상화 고양시의원(정의당)은 이날 성명을 내어 “최근의 국민 정서와 반하는 결정을 내려 황당하다. 고양시장은 기림일 폐지에 대해 시민 앞에 사과하고 공무원들의 잘못된 역사인식을 바로 세우는 역사교육부터 실시할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박임근 송인걸 정대하 박경만 기자
pik007@hani.co.kr